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 인간사회에서 ‘사람’이라는 이름을 떨칠 수 없는 한, 항상 ‘사람다운 삶’이 중시되기 마련이다. 공맹의 유가에서는 그러한 내용들을 ‘仁’이라는 용어로 담아 왔다. 즉 ‘仁’자는 유가 인생론의 키워드가 된 것이다. 그런데 그에 대한 공자의 발언은 일정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이라는 동질성을 가지면서도 때로는 개개인의 처지와 입장이 다른 경우가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공자 ‘仁說’의 내용들은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결국 사람의 내면과 외면을 포괄하는 하나의 ‘人’자로, 즉 ‘사람다움’의 의미로 정리되기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실들을 유가 경전을 중심으로 ‘仁’자의 용례를 따라 그 본래적 의미와 실천의 내용을 살피면서 그 논의의 폭을 넓혀보기 위하여 성리학계의 주자와 실학계의 다산까지 이어갔다. 그리고 오늘날에 있어서 그것이 가질 수 있는 의의에 대해서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파악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자의 제자로서 선비[儒]다운 인격을 적극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부단히 ‘仁’에 대한 질문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로 말미암아 그 내용은 ‘正名’의 맥락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존엄성을 구현하는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둘째, 여러 가지 덕행과 연계되는 형태의 공자 인설은 자사와 맹자에 이르러 ‘人[사람다움]’의 뜻으로 종합되었고, 특히 맹자에서 그 ‘仁’ 실천 가능성은 ‘德’으로 말해졌고 또 정치의 이상으로 간주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공자가 안연에게 仁을 ‘克己復禮’로 말한 부분에서는 성리학과 실학의 견해가 같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주자는 ‘禮’란 천리에 근거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결국 仁은 천인합일의 길이 되는 것으로 보았으나, 다산은 그와 같은 ‘克己’ 중심의 인설을 특이한 경우로 분리시켰는데, 그 이유는 ‘仁’의 실제는 ‘二人’ 즉 사람들 상호 관계에서 형성된다는 입장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넷째, 비록 시대는 다르다 하더라도 유가에서 제시된 仁의 구현은 다문화의 오늘날에 있어서도 사람다운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에 적극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仁의 인생관은, 안으로는 자신의 인격을 제고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밖으로는 ‘다르기에 서로 존경한다[異則相敬 『禮記』]’는 말에 이를 정도의 사회적 공존의식을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the practical theory on the Confucian benevolence. And I worked for the searching of the contribution elements in our modern human society. Confuciu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ving a decent living. The main content is as follows. ① ‘If the will be set on virtue, there will be no practice of wickedness.’ ② ‘To subdue one’s self and return to propriety, is perfect virtue.' ③ 'Not to do others as you would not wish done to yourself.' ④ 'Benevolence is to love all men.' ⑤ 'The practice elements of perfect virtue are gravity, generosity of soul, sincerity, earnestness, kindness.' ⑥ 'Benevolence is the characteristic element of humanity.'Therefore, the man of virtue will not seek to live at the expense of injuring the his virtue. He will even sacrifice their lives to preserve their virtue complete. In this way, the practice of perfect virtue is from a man himself. The modern significance on the theory of Confucian benevolence is as follows. In the point of individual side, the character of a man is to be cultivated by his treading in the ways of duty. and the treading those ways of duty is to be cultivated by the cherishing of benevolence. And in the point of social side, the man of perfect virtue, wishing to be established himself, seeks also to establish others. I think that the practice of perfect virtue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the peaceful coexistence in our every da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