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李震相의 心卽理說과 한주학파의 심즉리설 비판에 대한 반론을 살펴보면서, 성리학적 심즉리설의 의미와 19세기 한주학파의 시대적 당위론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당시 조선 성리학자들은 시대적 난국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개 衛正斥邪論을 시대적 모토로 내세우거나 이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유교종교화나 유교개혁론 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특히 위정척사론은 ‘理 중심의 사상’[理學]을 보다 강화해 가는데, 이러한 성리학계의 학문적 경향성은 전국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기호지역의 화서학파나 호남지역의 간재학파, 호남과 강우지역에 걸쳐 분포되었던 노사학파, 안동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의 정재학파, 성주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의 한주학파 등이 대체로 主理論에 기반한 성리설을 공유하고 있었다. 성리학적 도덕 질서의 근원이 되는 개념이 理로 상징되고 氣는 異端으로 비유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主理를 기반한 성리설은 당시 성리학자들의 시대적 당위론이라고 할 수 있다. 각 학파들이 시대적 당위론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그 구체적인 성리설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理를 현실에서 그대로 구현하고자 하는 성리학자들의 의지는 현실적 힘을 지닌 心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첨예한 갈등을 야기하였다. 그 대표적인 차이가 주자학과 퇴계학을 존모하며 계승하였던 이진상의 心卽理說 비판에서 두드러진다. 호남의 간재학파와 노사학파 뿐만 아니라 도산서원을 비롯해 정재학파, 안동 유림 등 영남 남인들은 퇴계학파에 속한 이진상의 ‘心卽理’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간재학파와 노사학파의 경우 ‘心是氣’라는 율곡학파의 心說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분명 이진상과는 대립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퇴계의 ‘心合理氣’를 계승하였던 퇴계 문인들에게도 한주의 心卽理說은 수용하기 어려운 심성설이다. 비록 시대적 당위론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심성설의 구축 내지 강화를 위한 기반이 각 학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주학파의 心卽理說은 강우지역의 일부 노사학파와 기호 지역의 화서학파로부터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승희, 허유, 곽종석, 김황 등을 중심으로 한 한주문인들은 각 학파들의 비판에 대해 적극적으로 心卽理說을 변론하거나 상대방의 비판을 반비판하면서 이진상의 본지를 지키고자 하였다. 그 변론은 心卽理說에 양명학적 혐의를 두거나 퇴계학에서 벗어난 학문이라는 비판에 대한 것이었고, 반비판은 근세 유현들의 ‘心是氣’ 주장에 집중되었다. 한주문인들의 반비판은 단순히 학문적 타당성을 추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현실 문제에 대해 주체적이고 적극적이며, 실천적인 행동으로까지 확대되었다.
Lee Jinsang[李震相, 1818~1886] announced a new theory of Mind that Mind is principle, based on Zhu Xi's philosophy and Lee Hwang's. He justified his own 'Mind is principle[心卽理]' theory from the premises that a pre-intentional and universal state before actual feelings are aroused[心之未發] is principle, that means Ki[氣] does not work and affect Li[理]. However, far from agreement with his theory of Mind, the other's school criticized severely his theory because they thought that his theory of Mind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re the same. HanJu school[寒洲學派] refuted their criticism item-by-item, Lee Seunghui[李承熙], Heo Yu[許愈], Kwak Jongseok[郭鍾錫], and Kim Hwang[金榥] was key figures in refuting of HanJu school. First, they mad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theory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ey maintained that mind can unify nature and feelings but nature is the fundamental, that is to distinct between mind and nature. Second, they presented evidence for his theory of Mind not to make a scrap of difference with Lee Hwang's philosophy but inherit and develop. Finally, they criticized Neo-Confucianism to assert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If so, Material force could control the nature and the unjust action was regard as rightness. Their counterargument was the path toward bringing the independent and active, practical human actions out sides of Neo-Confucianist in Joseon Dynasty. 'Mind is principle' was organized their purpose metaphysically. Therefore, their counterargument was of greatest importance for practice of theory and their anti-Japanese movement was for Lee Jinsang's theory on Min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HanJu school[寒洲學派], Mind is principle[心卽理],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心性之辨],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Lee Seunghui [李承熙], Kwak Jongseok[郭鍾錫], Heo Yu[許愈], Kim Hwang[金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