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흔히들 묵가의 兼愛와 유가의 仁은 각각 무차별애와 차별애로 말해진다. 그러나 묵가의 兼愛가 자신의 부모에 대한 차별적 관심인 孝를 부인하지도 않았고, 유가의 仁 또한 자기 친족에 대한 사랑인 친친을 넘어 타인에 대한 사랑을 지향되고 있음을 생각해 볼 때, 무차별애로서의 겸애와 차별애로서의 인의 의미와 의의는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묵가의 겸애와 유가의 인이 상호 포섭과 대립의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상호 포섭의 관계에서 본 묵가의 겸애는 무차별애가 아니라 통합적 보살핌으로 타인에 대한 사랑을 지향하는 차별애인 유가의 인을 포섭한다. 상호 대립의 관계에서 본 묵가의 겸애는 그 의도에서 무차별애를 지향하고, 또한 도덕의 근거를 이성에 두는 반면, 유가의 인은 측은지심을 비롯한 인간의 감정은 차별적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도덕의 근거는 자연적 감정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Mohist universal love and Confucian benevolence have been commonly referred to as love without distinction and love with distinction respectively. It, however, should be reconsidered extensively so as to disclose their substantial differences If we are reminded of the facts that Mohist universal love does not deny filial piety, a special attachment to one’s own parents and that Confucian benevolence is directed to loving toward others beyond merely treating kin as kin, a special attachment to one’s own relatives. This article claims that Mohist universal love and Confucian benevolence are in the relationship of both inclusion and contrast.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relation, Mohist universal love includes Confucian benevolence which is a love with distinction for the purpose of loving others because the former is an inclusive care rather than an undifferentiated love.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relation, Mohist universal love is directed to love without distinction at least in its intention and therefore bases morality on impartial reason while Confucian benevolence suggests that human emotion including compassion is nothing but being differentiated in its nature and bases morality on natural 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