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컨테이너 내륙운송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지나친 도로운송 집중현상과 동 현상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운송거리가 400km를 상회하고 물량 집중도가 높아 철도로의 운송수단 전환은 개별 기업 차원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적지 않은 문제해결과 비용절감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NCTAD의 철도 및 타 수송수단간 서비스 비교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철도 컨테이너 이용자의 철도 및 도로운송의 서비스에 대한 인식 정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제시했다. 분석결과 운송의 안전성 및 화물소재에서는 철도가 도로에 비해 상대적 우위를 보였지만 운송시간, 정시성 및 비용 등 화물운송의 핵심사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도로운송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당분간 도로화물의 철송 전환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Inland transport is regarded as a very crucial leg of container transportation, since this area finally determines significantly of the efficiency of the total traffic chain. Over the years, ever-increasing road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has pressured many government officials and traffic managers to shift cargo from road to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ransport modes : rail transport and coastal shipping.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Nevertheless most existing studies did not analyzed this critical issues. This paper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perception and degree of user agreement in comparing those two key inland transport modes in Korea including on time performance, cost aspect, speediness, safety, cargo tracking and transport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