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분포상기태의 경우는 보통 비전이성의 양상이며, 약 4%에서 지속성융모상피질환으로 진행하고, 완치를 위해서는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상기태 소파술 후 혈중 베타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수치를 추적관찰함으로써 지속성융모질환을 조기 발견할 수 있으며, 지속성융모질환으로 진행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서는 예방적 항암화학요법이 지속성융모질환으로의 진행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고 한다. 저자들은 최근 부분 포상기태 흡입소파술 후 혈중 베타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의 하락을 보여 추적 관찰하던 중 혈중 베타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의 증가소견 및 양측 폐엽에 전이 소견을 보여 지속성 전이성 융모질환 (persistent metastatic trophoblastic disease)으로 진단하고 3차에 걸친 항암화학요법 (Etoposide, ACT-D, MTX, Vincritine, Cyclophosphamide)으로 치료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rsistent tumor, usually non-metastatic, develops in approximately 4% of patients with a partial mole, and chemotherapy is required to achieve remission. Following evacuation of hydatidiform mole, careful hCG monitoring is mandatory since it is the most reliable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early detection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in whom the risk of developing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is significant or when the availability of hCG testing is suboptimal, chemoprophylaxis has been shown to decrease the risk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We report here a case of patient, 23- year-old woman who experienced unusual course after the evacuation of a partial mole and markedly elevated serum β-hCG levels. The patient developed persistent metastatic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3 courses of EMA-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