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전이성 난소암종의 환자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CK7과 CK20의 발현양상과 감별진단에 있어 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0년부터 2003년까지 189예의 전이성 난소암을 대상으로 전이성 난소암종 환자의 임상 및 병리학적 소견을 조사하고, 92명의 환자에서 CK 7과 CK20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189예의 전이성 난소암 중 175예가 비부인과 암종, 14예가 부인과 암종으로부터 전이하였다. 위암이 88예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대장암이 53예의 전이성 난소암을 보고하였다. 위암의 경우 82.5%에서 CK7에 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대장암의 경우에는 30.3%에서만 CK7 양성 소견을 보였고, 위암 82.5%의 경우에 CK20에 양성 소견을, 대장암의 경우 100%에서 CK20에 양성 소견을 보였다. CK7+/CK20+ 발현 양상이 위암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며 (70.0%), 대장암에서는 CK7-/CK20+ 발현 양상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76.5%). 또한 우측 대장암보다는 좌측 대장암에서 CK7-/CK20+ 발현 양상이 높은 경향 (60.0% vs. 83.3%)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