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외음부 암 환자의 수술시 sentinel lymph node를 탐색하고 동결절편의 조직병리학적 결과를 통해 수술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임상적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연구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2년 1월까지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에서 외음부 암 확진 후 근치적 외음부 절제술 및 일측 또는 양측 서혜 대퇴부 임파절 절제술을 시행한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전 technetium-99 m colloid albumin의 주입과 수술중 isosulfan blue dye를 주사한 후 sentinel lymph node를 찾아낸 뒤 이를 임상병리과에 보내고 그 동결생검 결과를 얻는다.결과 : 4명의 환자에서 총 10개의 sentinel lymph node와 110개의 non-sentinel lymph node를 얻었다. 동결생검 결과 10개의 sentinel lymph node는 모두 음성 (benign)이었고 sentinel lymph node가 음성일 때 영구 조직검사 결과가 양성 (malignant)으로 나온 경우는 없었다.


Clinical Significance of Sentinel Lymph Node Detection in Vulvar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