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대표적인 세포부착 물질인 E-cadherin의 단백 발현소실과 유전자 이상은 다양한 장기에서 발암 기전, 침윤성 및 전이에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자궁내막암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양 자궁내막선암과 자궁내막증식증을 대상으로 E-cadherin의 유전자 돌연변이 및 단백 발현소실을 조사하고 그 결과들과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자궁내막암에서 E-cadherin의 임상적 적용 여부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E-cadherin 유전자 돌연변이는 종양에서 추출한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으로 증폭 후 SSCP (single 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방식으로 검출하였다. E-cadherin 단백 발현 여부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암의 경우 자궁내막증식증에 비하여 E-cadherin의 발현소실이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43.3%: 5%). (P=0.009, Fisher's exact test) E-cadherin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자궁내막암에서만 2예 (6.7%)에서 검출되었고 자궁내막증식증에서는 검출된 예가 없었다 (6.7%: 0%)(P=0.06). 자궁내막암에서 E-cadherin의 발현소실은 병기 Ic 이상, 조직학적 분화도 3등급,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P=0.01, P=0.02, P=0.03). 결론: E-cadherin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빈도는 비교적 낮아 자궁내막양 자궁내막선암의 발생 기전에는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E-cadherin 단백 발현소실은 자궁내막증식증에 비하여 자궁내막암에서 월등하게 높게 검출되어 이는 자궁내막암의 암화과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높은 병기, 나쁜 조직학적 분화도, 림프절 전이가 있는 암종에서 월등하게 높게 검출된 점을 미루어 예후인자에 대한 표식자로 관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유전자의 다양한 분자 생물학적 및 종양생물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Reduced tumor cell adhesion is associated with invasive growth and unfavorable prognosis. In endometrial carcinoma, the prognostic impact of adhesion marker such as E-cadherin is partly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the expression and the mutation of E-cadherin in endometrioid endometrial adenocarcinomas and endometrial hyperplasias and to correlate their results with various clinicopathological factors. Methods: The expression of E-cadherin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 and the mutation of E-cadherin gene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PCR-SSCP) and sequencing were performed in tissues of 20 endometrial adenocarcinomas and 30 endometrial hyperplasia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ly known prognostic factors such as the stage, tumor grade and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Decreased expression of E-cadherin was detected in 13 of 30 (43.3%) endometrial carcinomas and in 1 of 20 (5%) endometrial hyperplasias (P=0.009).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utation of E-cadherin gene in between the endometrial carcinomas and endometrial hyperplasias (6.7%: 0%) (P=0.06). The incidence of the expression loss of E-cadherin in endometrial carcinoma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ith tumor grade 3, tumor stage above Ic or lymph nodal metastasis (P=0.01, P=0.02, P=0.03). Conclusion: Decreased expression of E-cadherin was detected significantly higher in endometrial carcinomas than endometrial hyperplasias. And the incidence of decreased expression of E-cadherin was more frequent in advanced stage, high histopathologic grade, and lymph nodal metasis. The mutation of E-cadherin gene was detected in only 2 case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expression of E-cadherin seems to be important in endometrial carcinomas and associated with aggressive subgroups. But the mutation of E-cadherin gene would not be related to endometrial carcinom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