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자궁내태아발육저하에서 양수과소증 동반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 산전 태아초음파상 10 백분위의 자궁내태아발육저하를 보인 138명의 태아 중 양수과소증이 동반되었던 태아 82예와 양수과소증의 동반 없이 발육저하만 보인 태아 56예를 대상으로 모체의 임상학적 특성과 신생아의 예후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모체의 임상학적 특성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태아의 임상적 특성에서는 양수지수와 진단~분만까지의 기간을 제외한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신생아의 임상적 특성에서는 고빌리루빈증의 발생과 비뇨기계의 문제 발생이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으나 그 외 신생아 합병증 발생에서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궁내태아발육저하와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경우 양수과소증의 동반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출생 후 신생아에서 고빌리루빈혈증의 발생 증가 및 신장의 문제 외 다른 합병증의 발생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 같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e the significance of the oligohydramnios in th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Methods: Eighty two patients were identified to hav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ith oligohydramnios (Group of IUGR+Oligihydramnios) and fifty six patients were identified to hav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ithout oligohydramnios (Group of IUGR) on ultrasound examination from January 1st, 2005 to December 31st, 2007 at St. Vincent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between two groups in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fetal clinical features except amniotic fluid index and the duration between diagnosis and delivery. The incidence of hyperbilirubinemia and complications in the urogenital syste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of IUGR+ Oligihydramnios. The other complications were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Oligohydramnios may not seem to be significant predictor of adverse neonatal outcome of IUGR except the development of hyperbilirubinemia and urogenital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