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산모의 고혈당증은 태아에서 인슐린 생성을 증가시켜 태아성장의 증가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신성당뇨를 포함한 당뇨합병임신의 산전진단이 불량한 주산기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에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임신성당뇨를 포함한 당뇨합병임신에서 조기분만과 만삭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 체중을 중심으로 대조군과 비교를 통해서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2005년 1월에서 2008년 12월까지 당뇨합병임신으로 진단받고 분만한 166명의 산모와 같은 기간에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248명의 산모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당뇨합병임신은 1형 및 2형 당뇨 그리고 임신성당뇨는 본원에서 100 g 당부하검사를 통해 진단된 경우와 타병원에서 임신성당뇨로 진단받고 분만을 위해 전원된 산모를 포함하였다. 태아기형, 태아사망 및 쌍태임신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임신 37주 미만의 조기분만과 만삭분만으로 나누어 출생체중의 차이 및 3.8 kg 이상 출생아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연구기간 중 당뇨합병임신의 발생은 4.9% (166/3,404)였으며 임신성당뇨가 86.1% (143/166), 1형/2형 당뇨가 13.9% (23/166)였다. 37주 미만의 조기분만이 당뇨합병임신에서 32.5% (54/166) 만삭분만이 67.5% (112/166)이었고, 조기분만에서 1형/2형 당뇨군(3,315 g), 임신성당뇨군(2,492 g)이 대조군(2,118 g)보다 출생체중이 더 무거웠고(P=0.001), 만삭분만에서는 1형/2형 당뇨군(3,540 g), 임신성당뇨군(3,371 g)이 대조군(3,243 g)보다 출생체중이 더 무거웠고, 임신주수도 더 짧았다(P=0.002, P=0.000). 3.8 kg 이상 출생아 빈도는 1형/2형 당뇨군에서 43.5% (10/23), 임신성당뇨군에서 16.8% (24/143)로 대조군(8.5%, 21/248)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P=0.000), 신생아 결과로 5분 Apgar 7점 이하의 빈도는 1형/2형 당뇨군에서 20% (2/10), 임신성당뇨군에서 10.9% (15/143)로 대조군(8/248)보다 높았다(P=0.013). 출생체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임상적 변수는 당뇨합병임신에서 출생체중과 체질량지수 사이에는 의미 있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R=0.298, P=0.009, 95% confidence interval; 11.159~76.817). 결론: 보다 정확한 당뇨합병임신의 진단기준의 확립과, 임신 중 체중관리 및 체질량지수의 추적 관찰을 통해서 과다한 태아성장이 임신성당뇨에서 잠재적인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임을 인식하고 이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risk of macrosomia in diabetic complicated pregnancy is increased perinatal morbidity. But it is difficult to predict adverse outcomes after birth with conventional diagnostic tools of diabetes in pregnant women. We evaluated the birth-weight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pregnant women based on gestational weeks to determine adverse pregnancy outcome. Methods: We selected 166 diabetic complicated pregnant women delivered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8 and 248 non-diabetic pregnant women at same period. We compared the birth-weight between two groups in relation to the gestational age below and over 37 weeks. Fetal anomalies, fetal death, and multifetal pregnancy were excluded in this study. And we also evaluated the incidence of baby who had birth-weight 3.8 kg or more and their neonatal outcome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4.9% (166/3404) of diabetic complicated pregnancies. The preterm births (birth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were occurred 32.5% (54/166) and term births (birth after 37 weeks of gestation) were 67.5% (112/166). The mean birth-weight in preterm birth showed 2,492 g of gestational diabetes, 3,315 g of pregestational diabetes and 2,118 g of control group (P=0.001). The mean birth-weight an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in term birth showed pregestational diabetes and gestational diabetes were heavier and short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P=0.002). The incidence of 3.8 kg or more of birth-weighted baby appeared 43.5% (10/23) of pregestional diabetes, 16.8% (24/143) of gestational diabetes and 8.5% (21/248) of control group (P=0.000). The Apgar score less than 7 at minutes of neonate were more frequent in pregestational and gestational diabetes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13). Conclusion:It is important to classify the type of diabetes during pregnancy and there should be needed to predict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cluding macroso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