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Umbilical cord entanglemen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monoamniotic twins. However, it can occur in diamnionic twins due to rupture of the intertwin-dividing membrane, and is a cause for concern. A 31-year-old nullipara visited our hospital at 28+3 weeks gestation. A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 gestation was diagnosed ultrasonographically by visualizing a thin intertwin-dividing membrane and a single placenta. A cesarean section was performed at 35+3 weeks gestation and concordant twin fetuses with entangled umbilical cords were delivered. Gross examination revealed a single placenta with a ruptured dividing membrane. Our case, along with the other cases, confi rms that antepartum rupture of an intertwin-dividing membrane is a clinical condi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ll cases of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 A careful inspection of the dividing membrane and each cord insertion site should be performed. Once the dividing membrane cannot be easily visualized, the possibility of antepartum rupture should be suspected.


제대의 꼬임은 단일양막성 쌍태임신에서 종종 일어났다는 보고가 있어왔으나 이양막성 쌍태임신에서도 태아 사이 양막의 파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31세의 초산모가 28주 3일 본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였으며 초음파상 단일태반과 태아 사이의 양막이 확인되어 단일융모막이양막성 쌍태임신으로 진단받았다. 산모는 35주 3일 제왕절개로 제대가 꼬인 상태의 쌍태아를 분만하였고 육안상 단일 태반과 파수된 태아간 양막이 확인되었다. 본 사례는 보고된 다른 사례와 마찬가지로 모든 단일융모막이양막성 쌍태임신에서 태아간 양막의 파수 가능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산모의 경과관찰 시 태아간 양막과 태반으로 삽입되는 양 제대의위치를 자세히 살펴야 하며 태아간 양막이 잘 확인되지 않을 경우 양막파수의 가능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