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늦은 조기분만(34+0주에서 36+6주 사이; 이하 조기분만)과 만기분만(37+0주 이후)의 산모에서 출생한 저체중태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와 적정체중태아(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만기분만군과 조기분만군의신생아 및 모성 이환율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가천의대 길병원에 내원한 임신 34주에서 42주의 산모 2,95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출생한 신생아를 조기분만에서 태어난 SGA, AGA 및 만기분만에서 태어난 SGA와 적정체중태아의 네 군으로 나누었고, SGA 및 AGA의 산전 초음파결과를 평가하였다. 산모의 합병증과 출생한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의 종류, 발생빈도를 조사하였고 각 군 간의 상대적 위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조기분만에서 태어난 SGA와 AGA 사이에서 출생전 초음파검사의 양수량, 복부둘레, 배꼽동맥 도플러 저항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조기분만 SGA 출생산모에서 임신중독증 및 양수과소증이 조기분만 AGA 및 만기분만 AGA 출생산모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 임신중독증과 양수과소증은 조기분만의 SGA처럼 자궁내 발육지연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며 조기양막파수, 분만전출혈 및 자궁근종은 출생 시 태아 몸무게보다 임신주수와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신생아 황달, 호흡곤란증, 괴사성 장염, 패혈증, 선천성 기형, 저혈당증, 두개강내 출혈 등이 조기분만 SGA군에서 만기분만 AGA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선천성기형, 저혈당증은 조기분만의 SGA 에서 만기분만의 AGA보다 의미 있게 더 많이 나타났다. 결론조기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의 합병증으로부터 주산기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산전관리 및 산과적 의사결정은 물론 주산기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신생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estimate the absolute increase in the risk for adverse neonatal outcomes of fetal growth restriction between late preterm and term birth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neonatal morbidity among late preterm and term birth infant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954 singleton infant between 34 and 42 weeks of gestation born at our hospital over the 5 years were enroll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late preterm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late preterm adequate for gestational age (AGA), term SGA and term AGA, respectively. The prenatal ultrasonographic findings between SGA and AGA in late preterm birth were assessed.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were compared with SGA and AGA between late preterm and term birth infants. The statistical analyses for frequencies and relative risks in each group were calculated by SPSS ver. 19.0. Results In prenatal evaluation between SGA and AGA in late preterm birth, amniotic fluid volume, abdominal circumference and umbilical artery Doppler resistance index value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 <0.001). Preeclampsia and oligohydramnios were found more common in SGA of late preterm birth compared with AGA of term birth. Jaundic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ecrotizing enterocolitis, sepsis, congenital anomalies, hypoglycemia, and germinal matrix’s hemorrhage, occurred more frequent in SGA of late preterm birth than in AGA of term birth. Conclusion Not only adequate prenatal evaluation and obstetrical decision-making but also long-term evaluation are needed to improve perinatal outcomes of growth restricted infants in late preterm 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