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당뇨황반부종 환자에서 치료 전에 다국소 망막전위도를 측정하여 황반부종을 치료한 후 시력예후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당뇨황반부종으로 시력저하를 호소하는 환자 60명 60안을 중심와 두께를 기준으로 500 μm 미만, 500 μm 이상 800 μm 미만, 800 μm 이상을 각각 20안씩 A, B, C군으로 분류하였고, 유리체 내에 triamcinolone acetonide (4 mg/0.1 ml) 또는 bevacizumab (1.25 mg/0.05)을 주사하였다. 주사 전과 황반부종이 치료된 시점에 최대교정시력과 다국소 망막전위도를 검사하여 황반부의 P1진폭을 측정하였다. 결과: 주사 전 황반부의 P1 진폭과 치료종결시점에서의 최대교정시력과의 관계는 A군(r=-0.772, p<0.001)과 B군(r=-0.651, p=0.00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C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108, p=0.652, Spearman correlation test). 결론: 다국소 망막전위도검사를 통한 황반부 P1 진폭 측정이 당뇨황반부종 환자의 치료 후 시력 예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of multifocal electroretinography (mfERG) after a decrease of retinal thickness in eyes with diabetic macular edema (DME). Methods: Sixty patients (60 eyes) underwent intravitreal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or bevacizumab for diabetic macular edema. Ey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foveal thickness : Group A (<500 μm, n=20 eyes), Group B (500 μm≦<800 μm, n=20 eyes), and Group C (≧800 μm, n=20 eye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mfERG responses from the most central seven hexagons were analyzed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The pre-injection P1 amplitudes of mfER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nd-point BCVA in Groups A and B (p<0.05),but did not correlate with end-point BCVA (p>0.05) in Group C. Conclusions: The level of P1 amplitudes of mfERG may be a useful tool to predict visual outcomes after a decrease of retinal thickness in patients with diabetic macular ed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