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25의 한국어판을 만들고 그 타당성 및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25를 두 명의 안과 전문의가 독립적으로 번역하여 1차 번역본을 만들었다. 1차 번역 본을 양국 언어에 능통한 안과전문의가 영어로 역번역하였고, 수정된 1차 번역본과 역번역본을 외부 전문가에게 의뢰해 감수를 받은 후 번역 완성본을 만들었다. 영문 NEI-VFQ-25와 1차 번역본을 영문 해석이 능통한 피험자에게 작성케 한 후 두 설문지 결과간의 상관관계와 일치도 분석을 하였다. 결과: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 25를 번역 및 역번역, 전문가 감수를 거쳐 한국어판 시기능 설문지를 만들었다. 영문 원본 과 한글 번역본의 문항별 점수, 세부 항목별 점수 및 총점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Kolmogorov-Smirnov test로 검정한 결과에서는 전 세부 문항에서 유의한 양 군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25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타당도 검증을 거쳐 한국어판 시기능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Purpose: To translate and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ing Questionnaire-25 (NEI-VFQ-25). Methods: Two bilingual ophthalmologists independently translated the original English version of the NEI-VFQ-25 into written Korean. A panel of the Korean Retina Society reviewed the translations to form a single reconciled forward transl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I-VFQ-25. Another ophthalmologist back-translated this first draft into English. Both the first draft and back-translated draft were edited by a professional translator. To evaluate the correlation and validity, results between the original NEI-VFQ-25 and the Korean version, completed by the bilingual participants, were compared.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ing Questionnaire-25 was developed by translation, back-translation, and expert supervision. Results from 23 bilingual participants between the original NEI-VFQ-25 and the Korean version were compared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 or greater. The Kolmogorov-Smirnov test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questionnaires. Conclusions: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I-VFQ-25 was achie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