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전층각막이식술 후 외상으로 발생한 봉합 부위 벌어짐의 예후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본원에서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외상으로 인한 봉합 부위 벌어짐이 발생한 환자들의 수상 전 및 직후 최대교정시력, 수상기전, 전층각막이식술의 원인, 전층각막이식술로부터 수상까지의 기간, 봉합 방법, 봉합사의 유무, 벌어짐의 정도, 안구 내 조직의 탈출 유무, 수상으로부터 일차봉합술까지의 기간, 일차봉합술 6개월 후 최대교정시력 및 이식 실패의 여부, 이차 수술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303안 중 12안(3.96%)에서 외상으로 인한 봉합 부위 벌어짐이 발생하였다. 수상 직후 및 일차봉합술 6개월 후 최대교정시력(logMAR)은 각각 2.58 ± 0.95, 2.50 ± 1.05로 유의한 시력호전은 없었다(p=1.000). 9안(75%)에서 이식 실패가 발생하였고, 이 중 3안은 재전층각막이식술, 2안은 안구내용물적출술을 시행 받았다. 1안은 망막박리가 발생하여 평면부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봉합 부위 벌어짐이 180o 이상인 경우와 홍채탈출이 있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시력예후가 유의하게 불량하였다(3.24 ± 0.13 vs. 1.97 ± 1.11, p=0.030; 3.17 ± 0.16 vs. 1.56 ± 1.05, p=0.048). 결론: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 받은 후 외상으로 인한 봉합 부위 벌어짐은 예후가 좋지 않고, 특히 봉합 부위 벌어짐이 180o 이상인 경우와 홍채탈출이 있는 경우 시력예후는 매우 불량하므로 외상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ognosis of traumatic wound dehiscence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traumatic wound dehiscence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performed between January 2004 and July 2014. All patients underwent primary repair of wound dehiscence. Main outcome measurements included pre- and post-injur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mechanism of injury, indication of PKP, time interval from PKP to injury, time interval from injury to primary repair, extent of dehiscence, type of suture, presence of suture, prolapse of intraocular tissue, secondary operation, BCVA and graft state at 6 months after primary repair. Results: The incidence of traumatic wound dehiscence after PKP was 3.96% (12/303). Mean post-injury BCVA and BCVA at 6 months after primary repair (log MAR) were 2.58 ± 0.95 and 2.50 ± 1.05, respectively, and visual acuity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p = 1.000). After primary repair, graft failure developed in 9 patients (75%) and evisceration in 2 patients; re-PKP was performed in 3 patients. Pars plana vitrectomy was performed in 1 patient due to retinal detachment. Visual prognosis was poor in patients with wound dehiscence greater than 180° than those with wound dehiscence less than 180° (3.24 ± 0.13 vs. 1.97 ± 1.11, p = 0.030), and in patients with iris prolapse than those without iris prolapse (3.17 ± 0.16 vs. 1.56 ± 1.05, p = 0.048). Conclusions: The prognosis of traumatic wound dehiscence after PKP was poor, and the visual prognosis was less favorable in cases with wound dehiscence greater than 180° and iris prolapse. Therefore, prevention of ocular trauma should be emphasized in all patients who undergo PK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