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양안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단안에만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한 14명 28안에 대해 신생혈관이 발생한 안과 발생하지 않은 안의 양안 비교를 통한 후향적 연구를 함으로써 당뇨망막병증의 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개인적인 혼란 변수를 배제하여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의 예측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환자들의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안과 발생하지 않은안 간의 임상적 특징 및 술 전, 술 중, 술 후 소견에 대해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 test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비교하였다. 결과: 술 전 시행한 망막 전위도 검사에서 명순응하 추체반응의 b파 진폭은 신생혈관이 발생한 안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술 전 시행한 전체 망막전위도 검사에서 명순응하 추체반응 b파의 진폭이 감소된 경우 유리체절제술 후 신생혈관 녹내장의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neovascular glaucoma after vitrectomy in eyes with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intraindividual and interocular differences in 14 patients (28 eyes) who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retinopathy with vitreous hemorrhage and having only 1 eye neovascular glaucoma. The patients underwent vitrectomy between March 2008 and July 2014 at Maryknoll Hospital. The patient clinical data on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actors were compar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 (Mann-Whitney) test and chi-square test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within the patient groups. Results: The decrease of photopic b-wave amplitudes on the preoperative electroretinogram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vascular glaucoma after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retinopathy with vitreous hemorrhage (p > 0.05).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decreased photopic b-wave amplitudes on preoperative electroretinogram is an effective prognostic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neovascular glaucoma after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retinopathy with vitreous hemorrh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