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각된 노조 지원에 대한 절차관련 공정성요인, 즉 절차적 정의와 상호작용 정의가 지각된 노조 지원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분석, 규명하였다. 서울 및 경북지역의 사무직 및 생산직 노조원 약 1,200여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 변수들은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절차적 정의와 상호작용 정의에 대한 판별 타당성이 입증되어 이들은 각각 독립적인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계층적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상호작용 정의는 절차적 정의에 비해 지각된 노조 지원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절차적 정의와 상호작용 정의가 비록 상관관계가 높다고 해도 타 변수와의 영향관계를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구분되는 특성을 갖는 변수로 정의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노조 내부의 공식적인 의사결정과 같은 절차적 정의보다 노조 간부들의 노조원에 대한 배려나 진실한 태도와 같은 통제 가능한 측면, 즉 상호작용 정의가 노조 지원 지각에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related justice and perceived union support. We hypothesized that processed-related justice would be divided into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separately. We also hypothesized that interactional justice would be more strongly related to perceived union support than procedural justice.The data was gathered from eight unions of Seoul and Daegu·Kyungbuk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both hypotheses. Like previous research, process-related justice was operationalized as 2 distinct variables :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was found to have a substantially stronger relationship with perceived union support than procedural justice.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ion officials have more concerns about interactional justice than procedural justi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erceived union support,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