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Kirkpatrick의 4수준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 모델을 재해석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반응수준(1단계)의 평가를 넘어 Kirkpatrick의 4 수준을 개인수준으로 적용, 확대하였으며 각각은 반응(감정적 반응, 유용성, 어려움), 학습(주관적으로 인식하는 학습), 전이(전이동기, 전이가능성), 결과(결과에 대한 기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측정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두 표본의 상황과 샘플의 차이에게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사할 뿐 아니라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두 번째 표본에서는 자기효능감, 통제소재, 경험에 대한 개방성 등을 훈련 프로그램의 사전에 측정하여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이 도구는 훈련 프로그램의 평가와 해석에 있어 그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판단된다.


Kirkpatrick(1959/1960, 1994) proposed 4 levels to evaluate training programs. These fore models are the reaction level, learning level, behavior level, and result level. However, this model has some limitations relating to the level of analysis and the measurement method in the behavior and the result level.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e reinterpreted the Kirkpatrick's "4 levels model" and developed the measurements for evaluating training program based on Kirkpatrick's "4 levels model" except the reaction level, that was used by Warr, Allan, & Birdi(1999)’s measurements. The measurements consisted of a reaction(emotional reac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difficulty), a learning(recognized in an objective point of view), a transfer(transfer motivation, possibility of transfer), and a result(expectation of the result). This study investigated two sample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s. While each sample’s situation was different, both showed significant and similar results. Moreover, before beginning the training program in the second sample, we measured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openness to experience to ensure convergence validity. This also showed significant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