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연봉제가 종업원의 동기부여를 높이는데 조절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조절변인들을 도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봉제의 도입 자체의 영향도 중요하지만 연봉제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수들의 조절효과가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연봉제가 이러한 조절변수들과의 적합성이 있는 경우 강한 동기부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성과임금에 대한 태도, 정보공정성에 대한 인식, 업무능력 및 업무수행에 있어서의 자율적 권한이 개인특성 조절 변수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수들의 조절적 영향이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과임금에 대한 태도와 직무 자율성은 조절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정보공정성과 업무능력은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연봉제를 도입하려고 하거나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이 연봉제의 동기부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봉제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구성원들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하며 종업원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과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moderating variables influencing motivation effect of merit pay. After economic crisis of 1997, merit pay has been rapidly diffused in large number of Korean firms, and main research issue to the present was if it really increase motivation of employees as expected. However, for the managerial implications,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find factors intervening in the motivation effect of the merit pay. In particular, our research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could play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critical literature review, we hypothesize that motivation effect of the merit pay will be stronger if merit pay fits with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attitudes for the performance pay, perception of informational justice, self-evaluated job competence, and job autonomy will positively increase the motivation level of merit pay. According to the results, informational justice and job competence exert a moderating effect while attitudes for the performance pay and job autonomy do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Results show that the firms have to actively provide pay related informations to the employees, and invest in development of the employees to maximize the level of motivation through merit p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