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복지는 역사적 생성 과정 속에서 각 시대의 이념과 이론의 갈등과 융화과정을 통해 형성된 역사적 산물이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서구식 복지이념과 비교하여 한국 역사의 한 시대인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나타난 복지이념을 고찰하였다. 조선후기 사회는 말기적 증후군이 나타난 시기로써 정치・경제적인 혼란이 극심하여 사회질서가 문란하고 민생이 도탄에 빠져 체제유지 조차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성리학적 메카니즘 속에서 새로운 학문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실학이 출현하였다. 친 백성적 경향을 띠고 있는 실학사상은 민생안정에 목표를 두고 복지적 측면에서의 접근을 강조했다. 따라서 많은 실학자들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사상속에서 논리적 근거에 의한 복지이념을 정립하여 이를 현실적으로 구현하려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들이 제시한 다양한 복지이념을 크게 사회의 분업체계를 재편하여 기존의 사회계층인 사・농・공・상의 사민계층을 재편성하려는 사민평등, 사 계층 이하에 속하는 모든 백성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민본주의 그리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분업과 분담을 통해 이타성을 추구하려는 자립적 공동체 의식 등으로 범주화하여 이를 실학사상에 내재하는 복지이념으로 정립하였다. 또한 이러한 복지이념을 현실적으로 구현하고자 백성들을 위한 복지시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A social welfare is a historical products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conflicts and liquefactions of ideologies and theories of every age in historical generation process. Therefore, We considered the welfare ideology showed in Choseon latter's Silhak thinking as compared with western welfare ideology which we apply nowaday. Choseon latter society which came out the terminal syndrome faced difficult situations that could not even maintain it's system due to extremely political and economical confusion, disorder of social order and distress of public welfare. To overcome these situations, Silhak which introduced newly an academic paradigm showed in Sung Confucian mechanism. Silhak thinking, pro-people's tendency, emphasized the approach of welfare side that aimed to stabilize a public welfare. Many Silhak scholars actually embodied these as they established the welfare ideologies by the logical basis in their thinking that they insisted. In this paper diverse welfare ideologies that they showed were categorized largely the three and were established to be welfare ideologies inhered to Silhak thinking; four classes people equalism which reorganized the four classes people(aristocrats, farmers, artisans and trademen), the traditional class of societ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social divided labor system, people origin thought which had to prioritize peoples below the aristocrats, self-sustaining community spirit which sought an altruism through the divided labor and allotment based on inter-reliance. Also,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plans to influence welfare policies for the people in order to realize these welfare ide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