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명명과제를 사용하여 정상적 시각조건과 빈약한 시각조건에서 한글단어의 빈도효과를 1-4 글자 단어들에서 비교하였다. 실험 1의 빈약한 시각조건에서는 표적단어에 패턴차폐를 겹쳐 표적단어의 시각정보처리를 어렵게 유도했고, 정상적 시각조건에서는 투명차폐를 겹쳐 보통의 읽기상황에서처럼 흰 바탕에 검은 단어가 제시되도록 했다. 실험 2에서는 바탕과 글자의 밝기대비 조절을 통해 정상적 시각조건(고대비)과 빈약한 시각조건(저대비)을 마련했다. 두 실험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 단어의 읽기시간은 정상적 시각조건에 비해 빈약한 시각조건에서 증가했다. 둘째, 한글 저빈도 단어의 읽기시간은 고빈도 단어의 읽기시간에 비해 증가했다. 가장 중요한 결과로서, 빈도효과와 시각조건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는데, 단어빈도효과는 정상적 시각조건에 비해 빈약한 시각조건에서 증가했다. 이 결과는 한글단어재인에서 정상적 시각조건에 비해 빈약한 시각조건에서 단어빈도와 같은 언어정보가 단어의 재인을 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웹 기반 학습을 포함해 시각적으로 다양해지고 있는 교육 환경에서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고 있다.


In two experiments, using word naming tasks, we examined the influences of visual conditions on word frequency effects in Hangul word recognition. We prepared normal and visually-degraded conditions by using pattern and transparent masks in Experiment 1, and by using high and low text contrast in Experiment 2.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ming latencies were longer in the visually-degraded condition than in the normal condition. Second, naming latencies were longer for low frequency words than for high frequency words. Most importantly, word frequency effects were larger in the visually-degraded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aders rely more on word frequency information to recognize words when the visual quality of the words are degraded.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our results in education - in terms of web-based learning and reading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