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기계발에 초점을 둔 청소년기 진로교육을 위하여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프로그램 모형을 구안하고, 모형에 기초하여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교수자료를 제작, 실행, 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성, 개발 과정의 타당성, 처치의 타당성을 지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모형을 구안하고, 교수체제개발의 기본 모형이라고 볼 수 있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ADDIE)의 과정을 거치면서, 전문가 집단의 타당화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인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자기성찰지능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한 뒤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창의적 재량활동과 계발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실험을 마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성찰, 균형화, 토대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성찰, 균형화, 토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질문지 분석 결과,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자기 인식, 직업 탐색, 직업 선택 및 진로계획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평가에서는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수용가능하고 효과적인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MIT)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CEP) which focuses on self-develop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CEP model based on MIT was projected and a CEP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DDIE, that i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154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our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during the discretional times and extra curricula activity times by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treatment group and controlled one. The result of effect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reatment can be presented into two divided ways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alysis as followings: concerning the result on the analysis of effect, the pretest score of CR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of the program. When compared to that of controlled group, the score of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area of reflecting, leveraging, and framing, which was appeared in the contents of students' reflection journal. Consequently, it can be said from subjects' answer to MI career questionnaire and reflection journal that MI CEP influenced positively on students' reflecting, leveraging, and framing. What's more, MI CEP helped students explore jobs or collect information in the view point of "MI" and in the long run gave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as high and the method in which the program was practiced was acceptable to the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so representative a CEP that can be operated as the guide for further development of CEP which puts its concern on manifesting and enlightening one's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