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숙달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등의 자기조절학습 요소와 일반 탐구 및 개방형 탐구수업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전국 9개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기관에서 총 166명의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학생을 표집하였다. 학습자 변인과 교수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일반 탐구와 개방형 탐구수업 모두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소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난 반면, 과학탐구능력과 관련하여 일반 탐구수업과만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소와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관계수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 경로분석 결과,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은 자기효능감이며, 교수변인은 일반 탐구수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형 탐구는 자기조절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반 탐구수업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적 경로모형과 달리, 자기조절전략의 사용은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path model of different types of inquiry based learning and the mastery-oriented learning goal, science self-efficacy, self-regulatory strategies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166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from 9 community gifted classes, each operated by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cross the n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inquiry based learning were significant; only traditional inquiry learn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skills; all sub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skills,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low.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 that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and teacher guided traditional inquiry learning were the only factors directly influenc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While open inquiry learning directly influenced self-regulatory strategies, traditional inquiry learning directly influenced science self-efficacy. Unlike the hypothesis, self-regulatory strategies were not the explaining factor for scientific inquiry skill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cience gifted educ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