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기존의 다중지능 검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H. Gardner의 다중지능에 관한 심리측정 원리들을 반영하여 개발한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이다. 검사는 유아용, 초등학교 저학년용, 초등학교 고학년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총 5종의 검사로 구성되었고, 검사의 형식은 검사시행 시점까지의 성취를 재는 선택형 문항, 능력을 재는 진위문항, 능력과 흥미를 재는 자기보고식 리커르트 척도 문항의 3가지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H. Gardner의 심리측정에 대한 제언에 따라, 지능의 핵심요소에 대한 재검토, 지능들 간의 중복성 및 위계성 여부에 대한 검토, 지능 간 편파적이지 않은 문항 구성, 검사형식의 다양화 등을 지향했고, 특히 본 검사에서는 능력과 흥미와 성취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고자 했다. 1, 2차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최종 표준화검사를 제작했고, 총 5585명의 연구대상을 연령별, 성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표집하고, 이를 통해 규준점수를 추출하여, 연령별 상대적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의 타당화를 위하여, 수검행동 관찰, 평균, 표준편차, 정답률, 신뢰도, 하위지능검사들 간의 상관, 지능별 진로선택의 평균순위에 대한 Kruskal-Wallis 검증 등의 분석을 하였다. 하위지능 간 상관분석 결과, 본 검사는 지능 간 독립성 가정을 지지했고, 지능별 진로선택에 관한 비모수 통계검증 결과, 다중지능이 진로선택의 계열과 대체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언어와 논리수학 능력에 유리하던 종래의 검사들과 달리, 지능별로 문항이 공평하도록 노력했고,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문항과 규준점수를 개발한 것, 능력과 흥미와 성취 점수들 간의 비교를 통한 교육적 처방 및 상담을 위한 방편을 마련한 것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검사시행의 현실적인 제약으로 문항수가 적게 개발되어, 요인분석이나 서로 다른 형식의 검사간의 상관분석 등을 하지 못한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문항 수를 늘려 전체 검사를 두 차례로 나누어 시행하는 연구를 하면 요인분석 및 기타 여러 타당화 증거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a Korean Diagnostic Scale of Multiple Intelligence(MI), which will be an alternative test to avoid problems with former Shearer's MI test and to adopt H. Gardner's suggestions to develop MI assessment. The test is developed 5 types; kindergartner, elementary lower grader, elementary upper grader, middle schooler, high schooler test. A form of test is diversified with 3 types; multiple-choice items for accomplishment, true or false items for ability, and self-reported items with likert scale for interest and ability. According to H. Gardner's suggestions, we have tried to reanalyze key component of MI, analyze an overlapping or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s, develop intelligences-fair items, diversify form of item. We have developed a final standardized test through a primary, secondary preliminary-test analysis, and sampled 5,585 students by age, gender, and regional groups. As a result of this sampling test, we can get a norm score and compare individuals with other's score relatively. To verify this test, we analyzed behavior observation, mean, standard deviation,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eliability of each test typ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scales, Kruskal-Wallis test of mean rank of career choice by intelligence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intelligence scales, we can conclude that this MI test is satisfied with intelligence independent assumption. Besides, as non-parametric statistics test(Kruskal-Wallis) of career choice by intelligences, we can identify that MI is related with domain of career choice. This test is not a linguistic and logical-mathematical biased test but a intelligences-fair test. It makes us compare individual's potential with a norm score. Besides, it could be useful as a means of educational prescription or counsel in comparison with ability, interest, and accomplishment of individual. But this test is limited to do factor 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ypes of sub-test, because items are minimized for a time-constraint and a heavy burden of test receiver. But if it could be tested with increased items by two sessions, further research could be expected to get over this constraints and do a further valida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