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교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생의 긍정적 인성형성, 사회성 발달, 학습력 제고 등에 영향을 미친다. 교원평가에서 다양한 교사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겠지만 교사가 수업을 포함한 교육적 상황에서 학생과 얼마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관계를 맺고 있는가 하는 것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교육적인 상황에서 학생-교사간의 관계를 구성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을 교사-학생 간의 관계에 응용하여 적용하였다. 교사와 학생 간 애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수용성, 신뢰성, 접근가능성, 민감성의 4개의 하위요인이 설정되었으며 요인별로 각각 10-13 문항씩 전체 46문항으로 구성된 학생-교사 애착관계 도구(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cale)가 예비검사로 개발되었다. 예비검사실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4요인 14개의 문항이 본검사 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전국에 소재한 15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58명과 중학교 15개교의 학생 1598명 등 총 2056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교사 애착관계 도구(STARS)의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88이며 검사-재검사신뢰도는 .90이었다. 검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타당도 기준을 활용하였는데 먼저 공인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l-Yagon과 Mikulincer(2006)가 개발한 아동이 평가한 안전기지로서의 교사(CATSB)와의 상관을 측정한 결과 .76이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연구자가 설정한 4개의 요인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가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다(NFI=.93, TLI=.91, CFI=.94, RMSEA=.06). 검사를 통해서 개발된 학생-교사애착관계 도구(STARS)가 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간 관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결과요인으로서 학생의 인지적 혹은 정의적 요인들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 지에 대한 인과모형에 대한 논의가 함께 시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evaluating a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based on the attachment theory. From a literature review on attachment theory, four sub-factors were identified; sensitivity, acceptance, accessibility, trust, To develop a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cale(STARS), total of 46 items ranging from 10 to 13 items per factor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pilot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14 items including 4 items per factor were finalized for the main study. 2056 Korean students aged ranging from six through nin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sampled from six different major provinces. For reliability of the scale, Cronbach alpha was computed and it was .88. Alpha score for each factor was ranged from .66 to .78. In addition, test-retest reliability score was computed for 274 students. The reliability measure was .90. To examine structural validity of STA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hether or not four factor model was appropriate to consider. Fit indices indicated that the four factor model was acceptable, NFI=.93, TLI=.91, CFI=.94, RMSEA=.06. For concurrent validity, CATSB developed by Al-Yagon과 Mikulincer(2006) was utilized. The correlation between STARS and CATSB was .76. From the STARS developed in this study, it would be interesting to se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teacher affects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