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조직풍토,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한 후, 교수몰입에 대한 학교조직풍토의 영향을 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가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 중,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 총 674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조직풍토 하위요인 중에서 교사의 친교적 행동과 헌신적 행동, 그리고 교장의 인간지향적 행동과 목표지향적 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들은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교사의 방관적 행동과 교장의 관료지향적인 행동은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과 높지는 않지만 부적인 관련성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교사의 헌신적 행동과 인간지향적 행동의 영향이 교수효능감을 통해서 교수몰입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학교조직풍토의 영향을 교수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수효능감은 교수몰입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ing flow using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accomplish the purpose, we have gathered response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sessing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from 682 teachers in 3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ou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Among the sub-factors in the school climate scale, positive sub-factors such as teachers’ intimate and dedicated behaviors, and principals’ people-oriented behaviors and goal-oriented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whereas negative sub-factors such as teachers' negligent behaviors and principals' bureaucratic behavi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However,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the teachers’ intimate and dedicated behaviors on the teaching flow were mediated by the teaching efficacy.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s to the educational practic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