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의 역할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도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학업적 정서조절과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중․고․대학생 1,00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학업적 정서조절 수준을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적 정서조절 수준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학교급별에 따른 학업적 정서조절 수준은 대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다소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선행연구가 대부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정서조절인데 반해 본 연구는 학업이라는 특정 맥락에 기인하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셋째,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학습전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교수 및 학습 영역에서 정서 변인 자체뿐만 아니라 인지 및 동기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학업상황에서 발생하는 정서구인에 초점을 두어 인지 및 동기변인과의 보다 심층적인 관련성을 탐색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 among academic emotion regulation, learning strateg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ested 1,008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i Province, Chungcheongnam Province, and Jeollabuk Province.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influence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learning strateg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64, .45, and .17,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was .20 and .16,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learning strategy was. 42. The fitness indexes of the final model were NFI=.95, TLI=.92, CFI=.95, and RMSEA=.086. The study results show tha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has indirec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it, which implies that future study needs to focus on more diverse emotional factors emerging in learning situations including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explore more profound connections between those factors and cognition and motivation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