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6년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실시 될 예정인 자유학기제를 시작하고 적용해야하는 교사들을 돕기 위해, 자유학기제 사전 준비 과정에서부터 시작단계, 즉 스타트업 디자인에 초점을 두어, 교장, 교감 및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유학기제를 정착시키기 위한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자유학기제의 정착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자유학기제 운영학교와 미운영학교의 교장, 교감, 그리고 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인터뷰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촉진요인은 학교 수준과 교실 수준의 2개의 영역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체험 인프라 구축’이 가장 일반적인 요인으로 나타났고, 교실 수준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가장 필요한 요인이었다. 저해요인으로는 학교 내 요인과 학교 외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었는데, 학교 내 요인으로는 ‘담당 교사의 업무 증대’, ‘예산 부족 및 편성의 어려움’, ‘미운영 교사의 이해 부족’,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 학교 외 요인으로 ‘체험 인프라 부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교사 측면에서는 ‘효율적인 연수’, 학부모 측면에서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학생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오리엔테이션’, ‘수요조사 사전실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후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o help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the free-semester program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ilitating factors, risk factors, and needs for conducting the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To address this aim, 21 teachers in middle schools including presidents and vice president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What facilitating factors are needed for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and “What are the risk factors that prevent the successful ree-semester program?” Participa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As a result, the two categories of the facilitating factors, school factors and classroom factors, were identified. They dealt with issues such as infrastructure development, financial issues, effective program development, and restructuring of curriculum. In addition, two categories for the risk factors, inside of school factors and outside of school factor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d developing infra, financial issues, and difficulties of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Lastly, in order to implement successful free semester programs in the immediate future, three categories were found for needs of successful free-semester program: teachers aspect, students aspect, and parents aspect. These needs involved effective training for teachers, active engagement of parents, and students orientations. Identifying these factors can be useful for teachers as well we students who need to experiences free-semester program. In the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