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적연금제도의 정당성을 주창하는 강력한 논거 중의 하나는 미래의 소비욕구를 과소평가하여 노후를 대비한 적절한 준비를 하지 않는 근로자들에게 노후준비대책으로서 국가가 공적연금을 강제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노후 빈곤을 방지하는데 있다.본 연구는 노후 빈곤 방지라는 기능과 관련하여 우리 국민연금제도의 빈곤완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는 노후에 활용가능한 총자원에 대한 범주 및 빈곤에 대한 개념 유형별로 각기 달리 제시되었다. 먼저 절대적 빈곤 완화 효과와 관련하여 노후에 활용가능한 총자산의 범주에 자가주택을 포함할 경우엔 국민연금은 노후빈곤율을 37.7%에서 19.7%로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반면, 자가주택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노후빈곤율을 74.4%에서 54.1%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의 주관적 빈곤 완화 효과와 관련해서 보면 노후에 활용가능한 총자산의 범주에 자가주택을 포함할 경우엔 국민연금은 노후빈곤율을 57%에서 36.4%로 떨어뜨리는 반면, 자가주택을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엔 빈곤율을 85%에서 74.6%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one of the strongest rationales for public pension that a state has the obligation to force individuals, who underestimate their future wishes to consume and may make insufficient provision for their post-retirement needs, to join mandatory retirement programs during their working life and not to fall into poverty in old age.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empirically the expected effect of National Pension Scheme on the reduction of poverty in old age. The major result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absolute poverty, National Pension Scheme is proved to decreases poverty rate from 37.7% to 19.7%( assumed to include one's own house to gross available resources in old age) or from 74.4% to 54.1%(assumed to exclude one's own house to gross available resources in old age). (2) In terms of subjective poverty, National Pension Scheme is demonstrated to diminish the poverty rate from 57.0% to 36.4%(assumed to include one's own house to gross available resources in old age) or from 85.0% to 74.6%(assumed to exclude one's own house to gross available resources in old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