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사회적서비스의 발달의 역사적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최근의 사회적서비스 확대의 실체를 규명하고 변화를 전망하는 것이다. 보육정책,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근대화관점, 계급동원관점, 신제도주의관점을 적용한 결과, 1990년 초반의 문제압력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대응이 지체되면서 최소주의적 국가부담 수준에 국한됐는데, 여기에는 계급동원 부재의 한계, OSR・NSR 간의 제로섬 게임의 환경, LMEs의 조정기제의 환류효과, 발전주의시대의 최소주의적인 가족지원패턴, 민간시장중심의 보육공급체계, 사적재로서의 접근 등의 경로의존성이 자리 잡고 있다. 시장지향적인 가족정책모델로부터의 궤도수정을 위해서는,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사회운동전략의 확립, 고부담・고복지의 고진로(high-road)에 대한 합의 추진, 국가-자본-노동 간의 거시적 조정의 제도적인 이익거래의 틀 마련 등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recent enlargement of social service through pursuit after historical process.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modernization, class mobility, new institutionalism viewpoint on nurture policy, women's work-family coexistence policy, it has been limited minimalist nation's obligation because of laggard response on the appearance of problem pressure in early 1990's. The reason is limit from absence of class mobility, circumstance of zero-sun game between OSR․NSR, feedback effect of LMEs' coordination mechanism, path-dependency of minimalist family support pattern on developmentalism era, nurture supply system depending on private market, approach from private goods. It is required for track revisionism from market-oriented family policy model to establish social movement strategy for women's work-family coexistence, to promote consensus on high-road based on high-burden and high welfare, to provide the frame on institutional interest exchange for comprehensive coordination among nation-capital-la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