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금융화는 사회보장을 포함한 여타 사회 부문으로 주주가치 중심주의가 확산되고 금융적 수익성 추구가 공공성의 가치를 압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캐나다, 일본, 스웨덴 등에서 공적연기금의 사회적 기금으로서의 성격 약화, 기금운용에서 국가역할 축소 및 금융시장의 역할 강화를 핵심으로 하는 신탁기금형 지배구조로의 유형 변화가 이루어졌다. 2000년대 들어 정부가 시도한 한국 국민연금지배구조 개편 역시 공적연기금정책의 주도권을 주로 금융부문에 부여하는 신탁기금형으로의 지배구조 변화를 추구한 것이다. 이는 연기금 금융화와 맞물린 변화이다. 그러나 여전히 존재하는 공적연기금 지배구조의 다양성은 이와는 다른 방향의 변화, 공적연기금의 사회적 기금으로서의 성격을 유지하고 시민사회 참여를 유지하는 ‘공공기금-협의형’으로의 지배구조 개혁을 모색하는 것도 여전히 가능한 선택지임을 보여준다.


With a view to financialization means that shareholderism spreads to other social spheres and dominates over social values like solidarity and publicity even regarding social security, a symptom of financialization can be found in the dynamics of changes of the public pension fund governance structures. Since 1990’s the public pension fund governance in CPP, GPIF, AP funds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trust fund-like governance’. These transformations centered on the retrenchment of the state and the enlargement of the financial market. The reform trials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governance by the government also follows the same direction since the middle of 2000’s. It pursues to give initiatives to the financial capital in pension fund policy determination and administration. Present diversity of governance structures of public pension funds, however, means it is possible to persue other kinds of reforms emphasizing the publicity of the pension funds and participations of civil society, as it were, a reform to ‘the social fund-concertation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