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가독거노인의 중요한 삶의 질 결정요소인 건강증진에 초점을 맞춰 이들이 지역사회복지관의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있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즉 재가독거노인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의사에 미치는 요인을 앤더슨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소인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고, 중요한 변수들을 분류・설정하여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대한 절대적・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실효성 높은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건강증진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관련기관을 통해 재가독거노인 309명을 확보하고, 전화 및 면답방법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서베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요인 간 상호통제와 상대적 중요성 확인이 탁월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세 요인 중 욕구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개별 변수로는 일반적 건강인지정도와 복지관 접근성이 정적(+)으로, 복지관 참여여부와 정보인지는 부적(-)으로 각각 프로그램 참여의사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잠재적・실제적 복지관 이용노인에 대한 체계적 사례관리를 기반한 보건복지통합프로그램을 전제로, 건강인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복지관 접근성 강화를 위한 방문서비스 강화, 홍보매체의 다양화를 통한 효과성 재고 등에 대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With a focus on health promotion,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living at home, this study set out to empirically investigate which factors would influence their participation in a program at a local social welfare center. That is,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ighly feasible programs and explore policy- and practice-based intervention plans to activate health promotion activity programs by categori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 health promotion activity program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t home into the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 based on Anderson Model, classifying and setting important variables, and checking their absolute and relative effects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uch program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took a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phone calls and interviews among 309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at home through the concerned agencies in Seoul. Gathered data were put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known for its excellence in mutual control and relative importanc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need factor had the highest level of relative importance of the three factors and that the general health awareness level and accessibility to a welfare center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 program with participation in a welfare center and information awareness having negative(-) effects on it. On the premise of an integrated health and welfare program based on the systematic case management of the potential and actual elderly users of welfare center services, the study proposed practic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ir health awareness, reinforcement of visiting service to increase their access to a welfare center, and augmentation of effect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promotional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