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OECD 주요 복지국가를 대상으로 조세체계의 구조적 형태와 그 특징 및 경향성을 밝히고 국가 간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조세체계를 징수규모, 공평성, 징수방식 그리고 부담주체로 구조화하고 ‘황금기’의 제도적 관성이 남아 있는 1980년대와 세계적인 조세 및 복지개혁이 상이하게 전개된 1990년대를 비교함으로써 복지와 조세의 관련성 및 변화과정을 검토하였다. 먼저 징수규모와 관련하여, 높은(낮은) 조세부담과 높은(낮은) 복지수준이라는 통념은 유효하지 않을 뿐 아니라 둘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사회보장기여금으로 인해 왜곡될 가능성이 크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세계화의 영향력이 조세의 공평성을 저해할 것이라는 예측은 수직적 공평성에 한해 유효하며, 수평적 공평성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직접세와 간접세의 세율 및 규모를 비교한 결과 세율상의 변화가 규모의 변화를 동반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복지체제와의 관련성도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과 기업의 조세부담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국가가 세입을 조정하고 대내외적 욕구의 변화 및 압력 요인에도 불구하고 개인소득세보다는 법인세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복지국가들이 개인소득세 보다는 법인세율 인상전략을 취해왔다는 점에서 조세경쟁가설을 지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조세를 체계적인 구조의 형태로 보는 것은 기본적으로 조세를 지나치게 단일한 공공재로 간주한 나머지 복지를 확장하거나 유지하는 데 동원되는 다양한 조세체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간과해 온 기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를 함축할 뿐 아니라, 실제 각 조세를 어떻게 운영하는가가 복지국가 재정운용 전략에 있어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ructural types,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taxation system on main OECD welfare states and to figure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it constructs taxation system into taxation size, equity, taxation method and taxpayer and compares between 1980s at a time when the systematic habit of ‘golden age’ is left, and 1990s at a time when different progression of taxation and welfare renovation in worldwide to trace out the relevance of welfare and taxation and to review changing process of taxation. Firstly, as to taxation side, the common concept that high(low) tax burden and high(low) welfare level are not valid, and the understanding of both relation may be distorted by the social security contribution. Secondly, the estimation of the effect of globalization might damage tax equity is valid as long as vertical equity, but it looks limited to explain the horizontal equity between capital income and labor income. Thirdly, when the tax rate and size between direct tax and indirect tax are compared, it is shown that it has no clear relevance with well known welfare system. Finally, in terms of tax burden of individuals and corporat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s a means to adjust tax income by the state and to respond internal and external change and pressure, it tended to focus on personal income tax rather than on corporate tax. The fact that many welfare states increase personal income tax while keeping corporate tax seems it does not support tax competition hypothesis. As such to regard tax as systematic structure is not only to raise a question on the existing studies which have overlooked the existence of various taxation systems that are required to expand or maintain welfare as it reverts tax as single public goods, but also to support the existing arguments that the operation of each tax is more important to the strategy of welfare state financ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