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도학의 필수 요건으로, 경전의 연구, 성리학설의 탐구, 修己­律身, 治人­經世에의 적극적 의지, 이 네 가지를 기준으로 일두 정여창의 도학을 살펴본 것이다.김종직­정여창ㆍ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는 도학파는 유교 경전의 연구인 經術에 根據를 둔 것과 성리학설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는 것, 그리고 『소학』 공부 및 그 실천을 특별히 중요시하는 것, 흔히 至治主義로 일컬어지는 경세에의 적극적 의지에서 공통된 특색을 갖는다. 필자는 『소학』을 중시하는 이러한 특색이 정여창 도학의 특색이라고 믿으며, 동시에 또한 이 특색은 이 학파의 공통 특색이기도 하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다.이에 따라 이 글의 서술은 이러한 특색들이 정여창에게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고 실천되었는지를 항목별로 살펴 가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 외에, 이 학파 안에서 정여창의 도학만이 갖는 특색으로 融和的 태도를 제시하는데, 이 특색은 정여창 도학의 현대적 조명 및 계승과 관련하여 주의 기울여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essay is about some characteristics of Il Doo(一蠹) Jung Yeo­Chang(鄭汝昌)’s the Learning of the Way(道學). Kim Jong­Jik(金宗直) who is Jung Yeo­Chang’ teacher, Kim Going­Pil(金宏弼) who is Jung Yeo­Chang’ classmate, and Jo Gwang­Jo(趙光祖) who is Kim Going­Pil and Jung Yeo­Chang’ student, all of them belong to a school which have been called the School of the Way. In this essay, I characterized the four element as common color of this school: read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studies of Neo­Confucianism, practice of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which consists of passages drawn from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Chu Hsi thought should guide the education of the young preparatory to the program of higher learning set forth in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a positive attitude to the ideal governance. The underlying aim of the Learning of the Way is to achieve “the governance of people through self­discipling”(修己治人). Through this study, we ascertain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of the Way take concrete shape in Jung Yeo­Chang’ learning and practice. Moreover, I considered moderateness as a characteristic peculiar to the Jung Yeo­Chang’ Learning of the Way, which I think is worth succeeding from a modern point of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