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朱子 格物致知論의 실천 지향적 특징을 해명하는 데에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주자의 격물치지는 理智的 주체가 개별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고 주체의 앎을 확장하는 ‘주지주의 수양론’으로, 이런 수양론에서는 자발적인 도덕 실천력을 배양하기가 어렵다고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주자 격물치지론에 대한 새로운 논증을 통해, 주자 격물치지의 지향과 목적이 자발적 도덕 실천력을 배양하고 완전한 실천지를 획득하는 데에 있다는 점을 밝혔다. 주자는 존재의 이치를 사변적으로 탐구하는 것보다 일상의 구체적 도리를 정립하고 실천하는 것이 수양의 목적이라고 생각하였고, 이 목적을 위해 격물치지 공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주자는 격물치지의 과정에 力行과 체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역행과 체험이 있어야 앎이 절실해지고, 앎이 절실해져야 참된 실천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치지의 도달점인 知至는 세계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라기보다 ‘완전한 실천지’(眞知)를 얻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격물치지의 대상은 理의 所當然과 所以然이다. 소당연은 마땅히 준수해야 하는 도덕준칙이고 소이연은 그 도덕준칙의 필연적 근거이다. 따라서 소이연을 파악한다면 도덕 준칙의 필연성을 자각하게 되고 그 자각을 통해 자발적 실천력을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소당연이란 비단 외재적이고 타율적인 도덕규범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주자는 소당연의 근본적 의미를 四端과 같이 ‘막을 수 없는 당연한 도덕 본능’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소이연은 그러한 도덕 본능의 필연적 근거, 즉 ‘性과 天命’이라고 말한다. 이점에서 볼 때, 격물치지의 궁극 목적은 외재적 도덕 당위법칙을 파악하고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 자신의 성과 천명을 온전히 체득하여 자율적 도덕입법으로서의 소당연을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가 바로 수양의 종점인 物格과 豁然貫通의 경계이다.



本研究的目的在于阐明朱熹的格物致知论之实践的特性. 现有研究成果评价了, 朱熹的格物致知是主知主义的修养, 就是说, 理智主体认知地探索个别事物的理法, 进而把握超越的究竟原理,而且因为这一点, 朱熹修养论缺乏自发实践力量. 可是本研究反对那些看法, 提起了朱熹格物致知的归宿处正是培养道德实践力及获得实践知. 朱熹修养论的基本重点在于实现日常世界的价值. 即: 朱熹修养论的方向与其要探究形而上学的最上原理, 毋宁要定立日常生活的实践规范. 朱熹为了成就这个目标而提出了格物致知. ‘格物’正意味着对日常规范来具体地、体验地探究, ‘致知’意味着切实地体悟那些道理. 换句话说, 格物致知就是获得实践知及启发道德实践能力. 朱熹强调, 在格物致知的过程当中, 应该需要力行和体验, 才能得到真正的实践知. 在这一点来看, ‘知至’也是获得完全的实践知, 即‘真知’. 格物致知的对象可谓是理之‘所当然’和‘所以然’. 所当然是应该遵守的道德纪律, 所以然是其道德纪律的必然根据. 所以, 如果把握所以然, 才能觉醒道德纪律的必然性, 进而才能得到自发的道德实践力量. 不过, 朱熹进一步说, 所当然是‘住不得’的自然道德本能, 如四端, 所以然是这些道德本能的根源, 如性与天命. 这样看来, 把握所以然, 可谓非但稳定地体认主体自己的性与天命, 而且在任何情况中也能自发实现所当然之则. 此就是‘物格’及‘豁然贯通’的境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