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적으로 현대를 가리켜 ‘문화’와 ‘문명’의 시대라고 일컫는다. 특히 오늘날 세계화 논의와 교차하여 문화와 연결된 ‘문명’을 통해 탈냉전기 시대정신과 위기를 읽고 그 상황에 신축성 있게 대응하고자 하는 문명 담론이 21세기 새로운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이 논문은 여기에 발맞춰 ‘현대 문명 담론’의 개념적 이해와 그 창조적 발전의 토대 구축을 위해 문화와 문명의 어원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서구의 문화와 문명의 의미 구성체는 17~18세기 근대 계몽주의 시기 ‘시민 계층’과 ‘시민 사회’의 운명과 함께 형성되었다. ‘문명’ 개념이 영국과 프랑스 시민 계층의 사회적 운명을 반영한 것이라면 ‘문화’ 개념은 독일 시민 계층의 운명을 담고 있다. 독일 지식인들이 문화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해 계몽주의적 문명에 대한 문화적 비판을 가하고 문명을 타자화하면서 이 양자의 적대적 분열이 초래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명’ 개념은 문명 생태학적 관계망을 규정하는 ‘세계주의적 시각’으로서, 또는 인류 문명의 진정한 공존을 위한 탈중심화의 현대적 문명 개념으로서 지속적으로 재탄생되고 있다. 아울러 ‘문명 간의 공존’이라는 현재적 의미로 탈바꿈되어 끊임없이 창조적으로 인신되고 있다. 이처럼 본 논고에서는 문화와 문명의 서구적 개념사를 비롯해서 이 두 단어를 둘러싸고 전개된 서구의 복잡한 개념 논쟁을 검토함과 동시에 그 번역과 도입에 따른 서구적 논쟁과 얽혀 있는 동양적 의미 전개를 분석했다. 그럼으로써 현대 여러 동서 문명 담론의 심층적 이해를 제고시켜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문화학’ 연구의 결손을 보완하는 ‘문명학’ 정립의 가능성을 공론화하고자 했다. ‘문화학’의 활성화는 필연적으로 그 상보적 관계에 있는 ‘문명학’ 연구와 병행되어야만 그 함의를 더욱 풍요롭게 하고 폭넓은 지평을 기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Generally, modern era is called the age of ‘culture’ and ‘civilization’. Particularly, crossed with today’s globalization arguments, the civilization discourse striving to recognize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crisis in the post-Cold War era through ‘civilization’ linked with culture and flexibly respond to the circumstances has been emerging as the 21st century’s new topic of conversation.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aper attempts to conduct an etymological analysis of both culture and civilization to gain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odern civilization discourse’ and build a foundation for its creative development. In addition, it intends to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future-oriented ‘civilization studies’ by re-examining an occidental foundation and contemporary evolution of both of these. The semantic formation of Western culture and civilization was developed along with the fate of ‘civil class’ and ‘civil society’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While the concept of ‘civilization’ reflects the social fate of civil class in England and France, the concept of ‘culture’ implies the fate of civil class in Germany. German intellect gave a special meaning to culture and added cultural criticism to the Enlightenment-oriented civilization and also alienated the civilization, which led to hostile disintegration between both of these. Nevertheless, the present concept of ‘civilization' is being steadily reincarnated as a ‘global perspective’ defining an ecological network of civilization. or as a modern concept of civilization focusing on decentralization for true co-existence of human civilizations. Also, it is continuing to be creatively recognized as metamorphosed into a modern concept of ‘co-existence between civilizations.'As such, including the Western European conceptual history of culture and civiliz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Western Europe’s arguments over complicated concepts unrolled concerning these two words and also analyzed the development of oriental meaning intertwined with the Western European arguments due to its interpretation and introduction. By doing so, the paper intended to enhance in-depth understandings on the several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 discourses in modern era and thus, engage public opinion to the matter of possibility of establishing ‘civilizational studies’ which will cover the deficit of ‘cultural studies’, a currently active research area. That is because the activation of ‘cultural studies’ can anticipate more enriched implications and enlarged horizons on condition that it is paralleled by ‘civilization studies’ having mutually supportive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