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毅菴 柳麟錫은 衛正斥邪論을 이론적으로 주창하였을 뿐만 아니라 1895년에 시작된 초기의 항일의병투쟁을 주도했던 대표적 의병장이었다. 그러므로 柳麟錫에 대한 연구는 위정척사론자인 동시에 대표적인 의병장으로서 활동한 점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고찰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성리학적인 이념체계 안에서 주로 연구되고 해석되어온 까닭에 위정척사론과 그 실천운동인 義兵運動과 관련성을 해명하는 작업은 등한시 될 수 없다. 이점에 착안해서 이 연구는 유인석의 의병투쟁의 실상을 그 운동을 추진하는 사고의 원동력인 위정척사론과의 관련시켜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유학자 의암 유인석의 위정척사론과 그 실천인 의병활동은 그의 知行合一觀에 대한 동시적 照明이라는 시각에서 고찰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을 염두에 두면서 그의 의병활동이 위정척사의 이념이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특히 그가 연해주로 망명해서 국외의 의병투쟁의 근거지를 개척하고, 국내의 의병세력과 연합하여 日帝를 驅逐하고 대한제국의 국권회복을 위해 투쟁하는 과정에서 국외에서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사상적 변이를 겪게 되는가를 추적하려 하였다. 유인석은 1895년에 시작되는 초기의 항일의병운동에서 1910 한일합방이 이루어지는 시기까지 의병활동의 과정에서 당시지식인의 행동강령이 된 處變三事論을 제시했고, 의병투쟁의 전략적 사고를 집약한 국외 의병근거지론을 제안했으며, 의병투쟁의 조직론인 「의병규칙」과 「貫一約」을 제시하면서 의병을 국외로 확산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국내 국내근거지론을 구상함으로서 의병투쟁을 총력적인 전면전으로 확산시키려 노력하였다. 그는 연해주로 망명하여 연추를 비롯한 연해주 곳곳에서 의병활동을 계속했지만 큰 결실을 보지 못했다. 그는 이러한 의병투쟁의 과정에서 그 자신과 화서학파의 위정척사사상의 최종적 결정판이라고 하는 「宇宙問答」을 저술로 남겼다. 이 책에는 무엇보다 당시의 국제정세에 대응하는 그의 사고를 정리해주고 있는 저작이다. 이 책을 통해서 그는 마지막까지도 위정척사사상을 견지해나가면서 서양문물에 대한 부분적인 受容이라는 思想의 變移를 보여준다. 우주문답에서 그는 종래의 위정척사론에 입각한 斥洋斥倭論적 시각을 바꾸어 서양문물에 대한 부분적인 수용을 밝히는 採西論을 주창하였고, 이는 그의 斥洋論의 變移라고 파악될 수 있다. 아울러 그는 일본을 포함한 三國連帶論을 주장하는 시각의 변화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이는 위정척사론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상하기조차 힘들었던 사상적인 변이로 보여 질 수 있다.


Ui-am Yu In-seok was a proponent of Wi-jeong Cheok-sa 'to protect the righteous and eliminate the evil' on the theoretical basis, while being the chief of one of the major militias that initiated anti-Japan military resistance begun in 1985. So the studies on Yu In-seok should focus on both his rol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tudies about him so far have not dealt with his claim of Wi-jeong Cheok-sa and his militia resistance together in association and thus faile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specially since his thoughts have been studied and interpreted in the system of Seong-ni-hak 'philosophy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in particular, the relation between his slogan of Wi-jeong Cheok-sa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embodied as militia resistance has not been paid attention. In the light of this, this paper tries to present the real practices of Yu In-seok's militia resistance in relation to his claim of Wi-jeong Cheok-sa, which was the source of energy that propelled the resistance movement. It is because his claim of Wi-jeong Cheok-sa and his militia resistance together can be seen as the reflection of his view of Ji-haeng-hap-il 'knowledge and conduct should agree'. With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his understanding of Wi-jeong Cheok-sa concept through the analysis of his militia resistance that was represented as a practical realization of the slogan he claimed.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at kinds of changes occurred in his thoughts through his experiences abroad in his exile to Primorsky Krai, where he claimed to develop base camps of militia resistance in foreign countrie, allying with domestic militia forces for eliminating imperial Japanese to restore the sovereignty of Dae-han Je-guk 'Imperial Korea'. Yu In-seok, while pushing forward militia resistance movement from the early stage of anti-Japan militia resistance begun in 1895 to the period of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10, presented Cheo-byeon Sam-sa 'three rules to face changing situations', which became the principles of behavior among the intelligentsia at that time. He also proposed the idea of having militia camps abroad as integration of his militia resistance strategies. In addition, he presented 'the Rules of Militia' and 'Gwan-il-yak' as principles of organizing militia resistance, expanding militia movement even to foreign territories, and plotted a plan of establishing domestic bases for the resistance to spread the fight as a full-scale all-out war. It was at the beginning stage of Imperial Japan's forceful occupation of Dae-han Je-guk, and Dae-han couldn't overcome its feeble military power, with its militia fights unable to develop as an all-nation resistance. Yu In-seok went into exile in Primorsky Krai and continued his militia resistance there in many places including Yenchu, failing to have a fruitful result. Even in the course of these militia fights, however, he could write out a book titled 'U-ju Mun-dap' (Q&A's for the Universe), which can be called the final version of his and Hwa-seo School's understanding of Wi-jeong Cheok-sa. This book shows in an orderly manner his thoughts coping with the then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s. In this book we can see the change in his thoughts to accept western cultures, though in part, while continuing to keep the idea of Wi-jeong Cheok-sa even until the end of his life. He maintained the idea of Chae-seo 'adoption of the west' that clarifies partial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s, and it is understood as a change in his thoughts about Cheok-yang 'elimination of the w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