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순자』 성악론(性惡論)의 바탕에서 ‘예(禮)’는 원초적으로 성립가능한가?”를 다룬 것이다. 순자는 인간의 마음이 ‘통제되지 않은 욕망을 쫒는 경향성’과 더불어 ‘가(可)함을 쫒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전자는 명백하게 언표된 성(性)이고 후자는 명백하게 언표되지 않았지만 성의 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이 역시 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양자 중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속성은 ‘가(可)함을 쫒는 경향성’이다. 이러한 속성이, 통제되지 않은 욕망의 추구가 불가할 때 가능태로서 약한 존재인 ‘지(知)ㆍ능(能)’을 소환하여 욕망의 절제를 담당할 임무를 부여한다. 후천적인 견문의 축적에 의하여 범인(凡人)들보다 뛰어난 자질을 갖추게 된 인간[聖人]이 ‘지(知)ㆍ능(能)’에 의하여 욕망을 절제하고 그리하여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낸 것이 바로 예(禮)인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성악론적 바탕에서 예가 원초적으로 성립하게 된다.


This paper proposes it is possible for ritual to come into existence originally under the theory of evil human nature in Xunzi`s philosophy. Xunzi regards there is the tendency of ‘following uncontrolled desire’ and ‘following possible way’ in man`s mind. The former is manifested human nature and the later which has not manifested by Xunzi can be also regarded as human nature because it fits the condition of human nature. Between these, the later is more original and persistent. This tendency calls 'knowledge and capacity' and bestows them the mission of controlling desire when it is impossible for men to pursuit uncontrolled desire. It is the ritual that a saint, a bit smarter than ordinary man by experience, has made to satisfy man`s desire.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ritual to come into existence originally under the theory of evil human nature in Xunzi`s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