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선진 제가는 춘추시대 이전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서술에서 내용상 대체로 유사하며 공통적으로 상고주의적 경향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들 각자가 견지한 정치 윤리적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난다. 한비는 피상적으로는 시대 구분론을 견지한 것 같지만, 내용상에서 보면 그것은 옛 것과 지금 것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경향이 뚜렷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그는 法治를 표준으로 삼아 상고의 인물과 사례 가운데 본받을 만한 것과 경계해야 할 것을 양분하여 모두 당대 법치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역사의 변천에 있어서 한비는 지속적 발전 과정이라고 하기보다는 ‘一治一亂’의 교체 과정으로 보고 있다. 비록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성인이 출현하면서 사람의 생존 환경의 개선을 이루고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법치의 각도에서 보면 民智의 개화는 오히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한다. 역사 변천에 있어서 군주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한비의 법치에서 보면 立法과 治國의 대리자일 뿐이며, 人民은 그것의 적용대상일 뿐이다. 이상에서 보면, 한비의 역사관은 법치적 역사관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한비가 개괄적으로 유가와 묵가를 비판하였지만, 구체적으로 그들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없는 것은 특이한 일이다. 요컨대 제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달라지며, 그것은 당대의 정치 사회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것이다. 또한 당대의 역사관은 해석자의 기반에 근거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역사 해석의 다양성은 필연적이다. 문제는 다양성을 확보하면서 역사 발전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가이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역사는 민주주의적 가치의 확대 과정이며 따라서 다양성과 아울러 이에 대한 사회구성원 다수의 共感을 얻어야 마땅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한비의 법치적 역사관에 반영된 제반 사상은 당시 역사적 조건하에서 秦나라의 통일 이념의 근거로 유용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분명한 한계점이 드러난다.


The advanced Schools of Thought had similar contents in general in describing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befor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showed the common tendency of respecting and idealizing ancient culture. Yet, each of them held a different political and ethical viewpoint. It was also applied to selecting historical records of ancient times, and they reinterpreted them by projecting their own viewpoints. Superficially, Han Feizi seems to have stuck to an age distinction theory, but in terms of contents, his theory showed a strong tendency of dichotomy that separated the old from the present. To put it concretely, he set the rule of law as the standard, divided ancient figures and cases into what should be modeled and what should be cautioned, and intended to model his nomocracy on them. As for the transition of history, Han Feizi regarded it as a replacement process of ‘government one time, and chaos another time(一治一亂)’ rather than as a continuous process of development. Even though it's clear that as times are changing, men of virtue appear, humans' environments for survival improve, and technology develops, from the viewpoint of the rule of law, enlightenment of public wisdom is considered as rather undesirable. The role of a king is being emphasized in the transition of history, but in Han Feizi's nomocracy, a monarch is merely the representative for legislation and government of a country, and people are just the target to apply them to. As explained above, Han Feizi's view of history was certainly a nomocratic one. Yet, it's remarkable that even though he criticized Confucianism and Mohism in general, he didn't pass detailed judgment on their views of history. In brief,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Schools of Though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perspectives, which is in order to secure political and social legitimacy of those times. In addition, the view of history of the day cannot help but depend on its interpreter's foundation, and accordingly, diversity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inevitable. The problem is how to secure diversity and in what direction history should develop. From today's standpoint, history is the process of expanding democratic values, and therefore, in addition to diversity, the sympathy of majority of social members is required. In this respect, the ideologies reflected in Han Feizi's nomocratic view of history could be useful as the ground for the idea of unity of Qin dynasty in the historical condition of those days, but show definite limitations from a today's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