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가구의 소득변동성, 특히 가구주 근로소득의 변동성이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의 8차 년도(2008년)부터 12차 년도(2012년)까지 5개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를 자가가구와 임차가구로 나누어 가구주 근로소득의 변동성을 측정하고,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가구주 근로소득의 변동성이 가구의 주택점유형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구주 근로소득 변동성은 자가가구에 비해 임차가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빗모형 추정결과에서도 가구주 근로소득의 변동성이 높을수록 가구의 주택소유확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결과에 기초하여 한계효과를 측정한 결과 가구주 근로소득의 변동성이 10% 증가하면, 소득변이계수를 이용한 경우 주택소유 확률이 0.4% 포인트 감소하고, 소득 회귀분석 결과를 활용한 경우 0.3% 포인트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밖에 가구의 경제적 특성인 순자산이나 항상소득은 주택소유확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상대주거비용과 임시소득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가구주의 연령이 높은 가구일수록, 가구주의 배우자가 있는 가구일수록 주택소유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income variability on households’ housing tenure choices focused on a household head‘s labor income variability. Using Korean Labor Panel Study data from 2008 to 2012, two different measures for income variability were estimate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a household head’s labor income and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s from household head’s labor income regressions. Results indicate that the values of income variability measures of homeowners are lower than those of renters. Our results of a probit model for housing tenure choice show that the more variable a household head’s labor income, the less likely is the household to own a home. The results predict that a 10% increase i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a household head’s labor income leads to a decrease in homeownership probability by 0.4% point and that a 10% in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s from labor income regressions decreases homeownership probability by 0.3%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