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Despite the various levels of discussion since the 1990s to gauge thepossibility of an East Asia Community, there has been little clear progress. The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cover the theoretical but negative legacy ofRōyama Masamichi’s late-1930s theory of an East Asian CooperativeCommunity. To this aim, I reread Rōyama’s texts, highlighting the perspectivethat he competed against universalism.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main premiseof his theory, the regional identity of East Asia, while acknowledging thefundamental limitations of discourse on East Asia in the 1930s. The paper is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 explain the background of howconceptualization of an East Asian Cooperative Community was raised by anepistemological break from the West being considered as the universal world. Ithen examine the concept of regionality presented by Rōyama to highlight thespecific identity of East Asia. Lastly, I review Rōyama’s claim that the East AsianCooperative Community is not a particularization of the world order, but thatregionalism itself forms a universal world order. In this paper, rather thandirectly criticizing Rōyama’s complicity in an imperialist invasion, I intend toreveal the dilemma that he inevitably encountered when competing againstuniversalism. In that sense, the problem presented in this article leads to themor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there could be any theoretical apparatusthat allows for the criticism of Europe-centrism but does not also result inAsia-centrism and Asia-hegemonism in discourse on East Asia.


1990년대 이래 동아시아공동체에 관한 논의가 빈번히 등장하고 있지만, 논의의실질적인 진전은 별로 없다. 본고는 1930년대 후반 로야마 마사미치(蠟山政道)의동아협동체로부터 이론적 참조를 발견하고자 한다. 특히 그의 논의를 보편주의와의경쟁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의 동아협동체론이 갖고 있는 근본적 한계를 명확히인식하면서 동아협동체가 전제로 삼는 동아라는 지역적 정체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우선 동아협동체가 제기되는 맥락을 서구라는 보편으로부터의 인식론적 단절로설명하는 과정을 살핀다. 다음으로 동아시아의 정체성으로 문화적 동질성과 경제적 이익이 아니라 지역적 운명의식을 제시하는 맥락을 살핀다. 마지막으로 동아협동체라는 지역주의가 세계질서의 특수화가 아니라, 그 자체가 보편적 세계질서를구성한다는 로야마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본고는 일본제국주의의 기만성을 폭로하는 손쉬운 방법대신 보편주의 프레임에서동아와 세계의 관계를 구상할 때 빠질 수밖에 없는 딜레마를 드러내고자 했다. 그런점에서 본고가 제기하는 질문은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 아시아중심주의와 아시아패권주의로 귀결되지 않을 수 있는가라는 또 다른 근본적 질문으로 열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