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관학파에서 설하는 공의 의미에 대한 남한의 연구는 주로 두가지 경향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공을 실재로 간주하고자 하는 경향이고 다른 하나는 공을 연기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하는 경향이다. 그 중에서 공의 의미를 올바르게 설명하는 것은 두 번째 경향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중관학파의 개조인 용수는 공을 연기․무자성․공․가명․중도의 다섯 가지 개념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고, 그 중에서도 공사상의 가장 중요한 논리적 근거는 연기이기 때문이다. 공의 의미에 대한 남한의 연구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은 자신이 미리 설정한 결론에 맞추어 원전을 자의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수긍하기 힘든 결론을 도출해 내는 것과 분명한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내용을 단언하는 것이었다. 그와 같은 문제점들은 중관학파의 공사상 관련 원전들에 대한 신뢰할 만한 우리말 번역이 많지 않고,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을 손쉽게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그런 문제점들은 중관학파의 공사상 관련 원전들을 더욱 정확하게 우리말로 번역함과 동시에,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망라하는 논총을 제작하여 손쉽게 이전의 성과들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불교 연구는 대체로 주체사상의 영향에 의하여 순수한 학문적 연구가 결여된채 주로 정치적인 안목에서 비판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부분적으로 정확한 서술이 있다고 하더라도, 엄밀하게 보면 북한에는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설해지는 공의 의미 그 자체를 이해하고자 하는 순수하게 학문적인 성격의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팔만대장경해제』는 용수의 『중론』에 대한 해제에서 ‘연에 의해서 성립한 사물은 자신의 고정된 성질과 독립적 실재성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 공의 의미이고, 연기와 공과 중도는 동일한 의미’라고 설명하고 있다. ‘공의 의미’에 대한 이와 같은 설명은 비교적 정확한 것이고, 정치적인 비판이나 왜곡이 들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특히 김정일이 『팔만대장경해제』의 편찬 방침을 지시하면서 ‘해제시 주관적 비판적 분석을 하지 말 것’ 등을 지시하고 있는 것을 보면, 북한이 불교 연구에 대해서 정치적 간섭을 줄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 북한의 불교 사상 연구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정치적인 간섭이므로, 만약 정치적 간섭이 줄어든다면 북한의 중관학파 공사상에 대한 연구, 나아가 불교 사상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round the situation and observation of study on the meaning of śūnyatā presented by the madhyamika śūnyatāvāda in south and north Korea. So, present writer examined some works which explaining the meaning of śūnyatā writed by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after 1945. As the result of that examination, present writer knew some things as follow. The study on the meaning of śūnyatā of south Korean scholars seems to have two tendencies. The one is looking upon the śūnyatā as ultimate reality, and the other one is explaining the śūnyatā through pratītyasamutpāda. But because Nagārjuna explained the śūnyatā of madhyamika by the five conceptions of pratītyasamutpāda․niḥsvabhāva․śūnyatā․prajñapti․madhyamāpratipad in his works, the śūnyatā of madhyamika should not be regared as ultimate reality but should be explained by pratītyasamutpāda. The problem of study on the meaning of śūyatā in south Korea are two kinds also. The one is distorting the text by explaining it through some conclusions which is previously seted up by oneself, and the other one is asserting some conclusions without even presentation of textual basis. Present writer think of that these problems arise from two reasons as follow. That are 1) a little texts of madhyamika a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2) difficulty of finding the result of study on same topic performed by others. And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by the translating of many more madhyamika texts, and by the making a collection of previous writing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the meaning of śūnyatā in north Korea seems to lack of pure scholastic motive by influence of 'the Subject Thought'. So, it seems to moving on by critical or political standpoint chiefly. In other words it seems to lacking of exact and correct understanding about śūnyatāvāda of madhyamika by the political interference. Present writer think that the most serious obstruction of the study on the śūnyatāvāda of madhyamika in north Korea is political interference. Therefore If the political interferences were decreased in north Korea, the study on the śūnyatāvāda of madhyamika would be brisk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