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힌디어의 능격(ergative case, 能格)이 인도-아랴어 (Indo-Aryan)의 뿌리가 되는 산스끄리뜨어(Sanskrit, 梵語)에서 어떻게 형성되어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힌디어의 능격은 타동사의 완료형 구문에서만 나타나는 형태론적 분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 시 말해서 모든 자동사의 구문과 타동사의 미완료형, 진행형 구문에서 는 주어가 능격이 아닌 주격(nominative case)으로 나타나는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힌디어에서는 왜 모든 구문이 아닌 타동사의 완료형 구문에서만 능격 주어가 등장하는 것일까? 또한 능격이란 무엇이고, 능격과 주격 간에는 형태론적 차이 외에 어떤 차이가 또 있을까? 부베니크(Bubenik 1989)와 데오와 샤르마(Deo and Sharma 2006)는 힌디어의 능격 발달 배경을 산스끄리뜨어의 수동태에서 찾고 있다. 이들은 산스끄리뜨어의 수동문이 변하여 오늘날 힌디어의 능격 구문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달리 혹(Hock 1986), 마시카(Mascia 1991), 일레바(Ilieva 1997) 등에 따르면 능격은 수동 구문의 변형이 아니라 애초부터 산스끄리뜨어에 존재하고 있었던 특성이며, 격표지(格標識)의 출현과 함께 오늘날의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달리 버트(Butt 1996; 2004; 2005b; 2006)는 힌디-우르두어에서 나타나는 능격과 여격 간의 혼용과 의미론적 유사성에 근거하여 여격 기원설을 주장하고 있다. 이렇게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의견을 내세우고 있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산스끄리뜨어에서 그 연관성을 찾으려 했다는 점이다. 필자 또한 힌디어의 능격 발달 배경과 원인을 산스끄리뜨어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다만 필자는 기존의 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산스끄리뜨어의 수동문과 힌디어의 능격 구문 사이의 형태론적(形態論的) 관점에서 벗어나, 두 구문이 갖고 있는 의미론적 유사성을 통사론적(統辭論的)인 입장에서 설명하려 한다. 다시 말해서 산스끄리뜨어의 수동 구문인 –ta 구문은 행위자에 대한 능동의 해석으로도 가능한데, 이는 힌디어의 능격 구문이 갖고 있는 행위자의 ‘의지’, ‘고의’ 등과도 상호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두 구문이 이렇게 유사하게 해석될 수 있는 근거는 바로 그들이 경동사(light verb, 輕動詞)를 근간으로 하는 똑같은 수형도(tree diagram, 樹型圖)를 갖고 있기 때문이며, 이를 발판으로 수동문은 능격 구문으로 변형될 수 있었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적인 주장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첫째, 두 구문이 공유하고 있다고 간주되는 수형도를 처음으로 제안함으로써 수동문과 능격 구문 간의 유기적 관계를 입증하여 수동문에서 능격 구문으로 발달할 수 있었던 배경을 제시하고 둘째, 그 수형도에서 vP가 담아낼 수 있는 의미론적 특징을 설명하여 통사론 속에서 의미론을 풀어내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끝으로 능격 후치사 -ne는 중세 구자라띠어(Gujarati)에서 영향을 받아 발전하게 된 것임을 본고에서 처음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nterest toward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rgativity in Indo-Aryan languages. In this article, I have seen that the diachronic analysis of ergativity in Indo-Aryan languages has been under a disput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dispute is whether the ergativity is there in Indo-Aryan languages because of the historical change (passive origin) or is a matter of historical stability (already existed in the OIA). However, much of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the widely accepted theory that the ergativity has originated from a passive verbal form, namely the past passive participle -ta in Old Indo-Aryan. However, there is also other view that there was no shift or development of ergativity in Indo-Aryan languages. It is an instance of historical stability rather than an example of change from accusative to ergative since the ergative construction arises through the extension of already existing constructions involving non-canonical subjects within transitive verbs. With regard to the passive origin, I will show Bubenik (1989)’s argument that the origins of ergativity in IA languages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markedness shift. In other words, when the –ta participle comes with transitive verbs, the reading of the sentence happens to be close to a passive construction, whereas it is interpreted with an active meaning when the same –ta participle comes with intransitive verbs. The frequent usage of transitive verbs in the MIA period made the –ta construction to have both active and passive readings. Since the –ta participle has been fully incorporated into the inflectional paradigm (-ta>-y-) in the late MIA times, the full-fledged passive construction was developed in the NIA period and this differed from the existing passive construction in the MIA languag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make the point clear at this stage that I disagree that the ergative case marker of Hindi –ne is directly originated from the instrumental marker of Sanskrit –ina. Instead, I support that the ergative case marker in Hindi is developed not from–janiyē ‘for the sake of/ because of ’ as has been proposed in Butt (2005a and 2005b) but from –lāgi/lāgī ‘stick to’ proposed by Beams (1872) and Kellogg(1893). Moreover, I also discuss that both passive and ergative constructions share the same structure in terms of the case assignment and semantic information that the subjects of both ergative and passive constructions have their case and semantic features checked by the light verb. This suggests that the ergative in Hindi is an inherent property of a passive construction in Sansk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