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혼모로서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경험을 탐색함으로서 이들이 어떻게 자신의 삶을 인식하고 해석하며,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을(Strauss & Corbin, 2001) 토대로 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성인기 양육미혼모 7명으로 이론적 표본 추출에 따라 모집하여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총 96개의 개념, 32개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중심현상은 ‘나의 가족 울타리 만들기’로 나타났으며, 과정분석 결과로는 ‘인식, 조절단계’, ‘해결모색단계’, ‘원가족에서 분리시도 단계’, ‘원가족과의 새로운 관계맺음 단계’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원가족 관계체계에서 경험된 이상적 나의 가족 만들기’로 확인되었다. 양육미혼모 삶의 가족경험 유형분석에서는 ‘가족친밀형’, ‘가족독립형’, ‘자녀중심형’, ‘가족유지형’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20-30대 양육미혼모의 가족경험을 탐색함으로서 그들 삶 속에서 나타나는 역기능적 한계성에서 탈피한 관계체계에 초점을 두고, 현상을 다루어야 함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양육미혼모들에게 가족체계는 보호요인이자 위험요인의 양면성을 지닌다는 것이 탐색되었고, 이러한 점에서 이들에 대한 가족치료 개입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of single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was guided by Strauss & Corbin’s (1988) grounded theo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adult unmarried mothers who were raising one child. Results: From the open coding, 96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that resulted from axial coding was “my family boundary.” The selective coding produced the key category “making my family.” The processes of the following four steps were analyzed: recognition and adjustment, solution-seeking, separation from the family-of-origin, and making new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of-origin. Conclusions: When family counseling takes into consideration an unmarried mother’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he family can operate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