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인기피증이 있는 딸의 문제로 어머니가 상담을 의뢰하여 개입한 가족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가족은 부모, 남매로 구성된 4명이며, 상담은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10회기의 상담축어록과 상담 시 기록한 메모를 근거로 형성된 범주들을 Miles와 Huberman(1994)이 제안한 매트릭스와 네트워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족 내에서 대화상대가 없었던 딸은 마음 속의 이야기를 단 한 번도 솔직하게 내놓지 못했으며, 가족구성원들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은 딸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치료자는 가족구성원들로 하여금 가족구성원들의 의사소통방식이 원가족에서 전수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악화시키는 방식임을 인식시켰다. 또한 가족구성원들은 치료자가 제안한 새로운 의사소통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가족구성원들의 변화와 딸의 대인기피증이 점차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phobia and family system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s identified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the daughter’s sociophobia and family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as well as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Methods: The data, which consisted of recordings and transcripts from 10 family therapy sessions,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atrix, and network display. Results: The study fou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conflicts with the family of origin as factors influencing the daughter's sociophobia.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family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ociophobia and explicated the changes in the family members’ relationships based on those interventions. Conclusions: Family therapy interventions enhanced the family members’ 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helped reduce the daughter’s sociophobic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