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懶婦를 소재로 한 漢詩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歌辭 懶婦歌의 형성배경을 살펴보는 데 있다. 나부가는 士婦人의 직분에 대한 ‘주제적 표현’과 금세 부인에 대한 ‘부정적 형상화’로 이루어진다. 나부가에 나타난 ‘부정적 형상화’에는 勤儉에 대한 교훈뿐만 아니라 事君子事舅姑에 대한 교훈이 복합되어 있다. 懶婦를 소재로 한 漢詩는 17세기부터 勤儉과 관련된 행위를 중심으로 한 ‘부정적 형상화’로 詩作이 이루어지고, 18세기 후반 이후 그 강화 과정에서 勤儉과 관련된 행위에 事君子事舅姑와 관련된 행위가 복합된 ‘부정적 형상화’로 詩作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事君子事舅姑와 관련된 ‘부정적 형상화’는 경제적인 이유로 부녀자들이 가족의 화목을 해친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나부가의 형성배경은 17세기 이래 勤儉과 관련된 행위를 중심으로 한 ‘부정적 형상화’로 詩作하는 전통과 18세기 후반 이후의 현실에 대한 반영이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ain subject of Nabuga:Nabuga is contained the instruction of the imperative expression and the instruction of the negative depiction. I compare Nabuga and Bogseonhwaeumga․Yongbuga․Kyenyeoseo. In the result, the main subject of Nabuga is the complex of the instruction of diligence and frugality and the instruction of being devoted to her husband and her woman's mother-in-law.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 Since the seventeenth, the poetry of classical chinese in the imperative expression has been created. After the end of eighteenth, the poetry of classical chinese in the imperative expression has been increased and has been appended her action that breaks the instruction of being devoted to her husband and her woman's mother-in-law. This appearance is caused by the author's reflecting the actuality of the day. By this result, I concludes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is the complex of the convention being created the imperative expression since the seventeenth and author's reflecting the actuality of the end of eighteen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