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명사가 본래의 명사적 의미 기능을 잃고 文法的인 機能인 樣態的 意味로 文法化된 ‘-는 법이다, -기 마련이다, -기 십상이다, -기 일쑤이다’의 의미적,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려 했다. 선행하는 命題가 ‘一般的으로 發生하는 事件이나 事態’라는 話者의 태도를 나타내는 이들 구성은 名詞로 쓰일 때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先行 命題 내용을 一般化시킨다는 공통 의미를 가지면서 ‘-는 법이다’는 自然的인 法則이나 普遍的인 眞理에 가까운 경우에, ‘-기 마련이다’는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낼 경우에, ‘-기 십상이다, -기 일쑤이다’는 話者의 경험에 따른 것으로 자주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一般化를 나타내는 경우에 쓰인다는 차이점이 있다. 사건이나 사태의 ‘一般化’라는 공통된 의미 특징 때문에 각각의 표현은 어느 文脈에서는 交替가 가능하나 각각의 個別 意味 特徵 때문에 交替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synta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the grammaticalized 'nominal+predicate constructions'(‘-는 법이다(-neun peobida), -기 마련이다(-ki maryeonida), -기 십상이다(-ki sipsangida), -기 일쑤이다(-ki ilssuida))'. These constructions are o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and have evolved into epistemic modality. Also, these constructions show the universalization of the speaker on the statement content. Bu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what is the probability of that happening, And '-는 법이다(-neun peobida) , -기 마련이다(-ki maryeonida)' have objectivity on the meaning feature but '-기 십상이다(-ki sipsangida), -기 일쑤이다(-ki ilssuida)’ have subjectivity. These constructions are different in their syntactic restriction. For example '-는 법이다(-neun peobida)' has a generic noun subject but -기 마련이다(-ki maryeonida), '-기 십상이다(-ki sipsangida) and -기 일쑤이다(-ki ilssuida) don't have it. And '-는 법이다(-neun peobida)' can't combine with '-시(si)-', on the other hand these others can combine with it. These are different from grammatical meaning of these constru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