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申在孝는 널리 알려진 판소리 이론가이자 사설의 개작자이다. 그의 中人이라는 신분과 鄕吏라는 직업은 조선 후기 兩班과 平民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하는 경계적인 위치였음은 분명하다. 이러한 申在孝의 境界的 위치는 그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에 잘 나타난다. 申在孝의 物慾이 판소리 사설에 구현된 樣相을 살펴보면 상층 이데올로기, 즉 유교이념이 요구하는 淸貧한 삶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實際的인 貨幣 경제의 발달이나 경제 상황의 변화에도 민감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당대사회가 申在孝에게 요구하는 假想的 社會正體性과 그가 가지고 있던 實際的 社會正體性의 乖離를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境界人으로서의 申在孝는 富와 貨幣의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쫓는 삶을 살았지만, 표면적으로는 淸貧이라는 틀에 묶여 이를 이상화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Shin Jaehyo is well known Pansori theorist and texts rewriter. He was a Hyangli which means he was neither of a noble birth nor a common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between position' is faithfully reflected in the pansori texts he recreated. The main issue of his texts is disinterestedness in money based on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However, the texts also show his desire of gain as he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the new monetary economy and the changes in the economic condition in detai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gap between a virtual social identity that the society forced him to have and his a actual social identity. Being in the ‘between position', Shin jaehyo not only tried to idealize the disinterestedness but also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money and w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