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황순원의 장편 움직이는 城은 한민족의 ‘유랑성’을 문학적 주제로 다루고 있다. 작가는 유랑성을 책임 있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극복해야 할 정신적인 태도로 인식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작품은 유랑성에 대한 긍정적 모색의 측면을 또한 제시하고 있다. 이는 유랑적 삶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자각이 비유랑적 삶의 태도를 갖게 함과 동시에 존재론적 구원의 길을 모색하게 하기 때문이다. 황순원은 이 작품에서 서로 대립하고 있는 두 세계의 경계를 중심으로 소설의 서사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 작품에서 유랑성은 상반된 두 세계의 가치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경계성’과 같은 맥락의 의미를 지닌다. 이 작품의 표면적인 대립축으로 작용하고 있는 무속과 기독교의 갈등도 두 종교의 경계에서 야기되고 있으며, 주인공 성호를 통해 제시되고 있는 전인적 구원의 가능성도 성(聖)과 속(俗)의 경계에서 발견되고 있다. 요컨대, ‘경계’의 수사학은 유랑성 극복을 위한 작가의 창작 의도로부터 말미암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소설미학적으로 형상화된 ‘창조주의 눈’은 경계 위에서 유랑하는 인간존재의 비극성과 모순성을 통합하려는 변증법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비록 현실세계에서 악과 모순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자기 희생적 통과제의를 통해 타인에 대한 사랑에 눈뜨게 된 사람에게는 현실의 그 악과 모순마저도 아가페적 사랑 속에서 승화될 수 있음을 작가는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Hwang, Soon-won’s novel, The Moving Castle deals with the nomadism of Korean race as the literary theme. The author recognizes the nomadism as an mental attitude, which should overcome for leading an responsible and independent life. The nomadism of this book means the same regards of ‘border’ that is come from the clash of two directly-opposed values. At the same time, this novel suggests the aspect of affirmative grope about nomadism. The critical self-reflection and self-consciousness about the nomadic life brings un-nomadic attitude for life, but on the other hand it seeks the way of ontological salvation. He leads the narration of this novel with the border of two worlds as the center. The conflict of Shaman custom and Christianity which is functioning as the axis of formal confrontation is also from the border of two religions.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Sung-ho, the hero of this novel is founded in the border of sacredness and profaneness as well. The author created the center of narration on the border of two opposing realms, because he could find the new value beyond the meaning of binomial opposition. ‘The eyes of God’ figurized novel-aesthetically on this work could be a dialectic attempt synthesizing the tragedy and contradiction of nomadic human being. Even though evil and contradiction exist in the real world, the author tries to show that even the evil and contradiction of the real world can be sublimated in agape for the one who become aware of love for others through self-sacrificial passage r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