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오장환의 시쓰기를 관통하는 탕아의 자의식이 1930년대 후반에서 해방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펼쳐지는가를 살펴보았다 . 계몽의 담론에 내장된 피로와 환멸이 누수되기 시작한 1930년대 후반, 오장환의 탕아-서사는 상실된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를 거부하고 근대의 폐허와 직접 대면하는 지점에서 출발한다 . 그는 ‘매음녀’의 몸으로 환기되는 유곽의 상상력을 통해 , 근대적 삶의 양식에 저항하는 탕진과 소모의 열정을 텍스트화한다 . 이렇게 아버지의 호명을 거부하고 계몽 -서사를 붕괴시키는 탕아-서사는 근대의 동일성을 붕괴시키는 비동일화 전략으로 이해된다 .오장환의 탕아-서사는 해방기의 ‘자기비판’의 장을 통과하면서 고백의 언어 속에 포획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 해방기를 지배하는 건국의 파토스는 고백을 통해서 ‘병든 몸’의 개별성을 삭제함으로써, 이념적 동일성에 기반을 둔 역사적 신체를 건설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분출된다. ‘자기비판’을 통한 고백하기는 , ‘부끄러움’이라는 수사로 덮어버림으로써 자아를 새로운 계몽 -서사로 내부로 호명한다 . 이러한 고백의 양식에 포획된 탕아의 내면은 속죄와 참회를 통해서 , 근대를 향한 모험을 이어가는 오딧세이적 주체의 탄생을 욕망한다 . -서사의 붕괴를 드러냄으로써 , 이념적 타자에 대한 환상적 봉합을 거부한다 . 여기서 탕아-서사의 붕괴는 역설적으로 그 실패를 통해 이념적 동일성의 지평을 균열 시키는 징후가 338된다. 이념적 언어의 강력한 지배에 포획된 해방기 시의 미학적 가능성은 이러한 탕아 -서사의 균열과 실패의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 .


Prodigals disguise and poetics of melancholy; Le, Ki-SungThis thesis has tried to analysis and evaluate Oh Jangwhan’s inner senses and relation with his poetry corresponding to historical situation from the latter half 1930’s to the Haebang period. I focused on the prodigal-narrative which expressed in Oh Jangwhan’s poetry. Oh-Jangwhan experienced a colapse of modernity and the prodigal-narrative conflicted with the enlightenment-narrative. He expressed a defiance toward the F a t h e r’s oder and interpelation by the prodigal son’s voice. The melancholy was the main mod of his poetry of the later half 1930’s that expressed of the disilusion of the modernity. On Haebang period his versification showed an complication of poetic and political practices. The prodigal son, his poetic ego, tried to identify with the pathos of nation-building constructed the historical narrative that was the gaze of Other. He made the issue of self-criticism into the method of confession. His confession presented the anxious subject which resisted to the body of history. So Oh Jangwhan as a prodigal son couldn’t end his wandering and failed to acomplish his plot and homecoming. But the colapse of the prodigal-narative meaned a sign of rupture of the equality of ideology. Oh Jangwhan’s poetic world showed the Haebang period’s aesthetic character that is response to the historical situation.